[길섶에서] 이중 잣대

[길섶에서] 이중 잣대

이순녀 기자
이순녀 기자
입력 2025-06-11 01:01
수정 2025-06-11 02:2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회사 근처 줄 서는 맛집에 가기로 한 지인이 약속 시간이 지나도록 감감무소식이었다. 일행이 모두 올 때까지 밖에서 기다려야 했기에 나보다 늦게 온 손님들이 먼저 입장해 식당 안은 이미 만석이 된 상황. 막 전화를 걸려던 순간 저 멀리서 헐레벌떡 뛰어오는 지인이 보였다. 회사 일 때문에 늦었다며 미안해하는 그에게 “괜찮다”고 말하면서도 마음 한켠에서는 짜증이 올라왔다.

며칠 뒤, 이번에는 내가 다른 친구와의 점심 약속에 늦었다. 급한 업무 전화 때문에 어쩔 수 없었다고 양해를 구했는데도 친구는 “좀 일찍 다녀라”라며 핀잔을 주었다. 입장이 바뀌고 보니 악의 없는 농담조차 서운했다. 하지만 나 역시 약속에 늦은 지인을 진심으로 배려하지 않은 건 마찬가지 아니었던가.

우리는 종종 자신에게는 한없이 너그러우면서 타인에게는 엄격한 태도를 보이곤 한다. ‘봄바람처럼 남을 대하고 가을 서리처럼 자신을 살피라’는 뜻의 춘풍추상(春風秋霜)은 고사하고 나에게만 유리한 이중 잣대를 들이대고 있지는 않은지 항상 경계하며 살 일이다. 나랏일 하는 공직자라면 더더욱이나.
2025-06-11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