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즘엔 각종 시험 답안지를 당연히 주최 측이 준비하지만 조선시대 과거는 그렇지 않았던 모양이다. 증광시처럼 임금이 시험장에 나가는 친림시(親臨試)는 국가에서 시험지를 제공했다. 하지만 식년시 같은 정기시험은 응시자가 용지를 마련해 예조에 내면 확인 도장을 찍고 돌려주는 방식이었다.
조선 후기가 되면 과거 응시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했으니 시험지 수요도 그만큼 늘었다. 과거가 끝나면 합격자 시권(試券·답안지)은 돌려주고 불합격 답안지, 곧 낙폭지(落幅紙)는 재활용했다. 낙폭지를 솜 대신 넣은 종이 방한복은 서북지방 군졸들에게 지급됐다. 군사의 가슴 부위를 보호하는 엄심갑(掩心甲)으로도 활용됐다. 창덕궁 인정전 ‘일월오봉도’의 배접지도 낙폭지였다.
엊그제 국립문화유산연구원이 펴낸 ‘궁궐도배지’ 보고서를 보니 낙폭지는 종묘를 비롯한 왕실 전각의 초배지로도 폭넓게 쓰였던 것을 알 수 있었다. 궁궐은 세 겹으로 도배를 했는데 흙벽에 바르는 초배에 사용한 것이다. 낙방한 시험지 주인공의 이름쯤은 가려 주는 배려가 있었는지 문득 궁금해진다.
2025-07-14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