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흥술 서울여대 국문과 교수·문학평론가
머리가 희끗희끗한 사람들이 모여 애 키우는 이야기, 돈 버는 이야기, 건강에 관한 이야기 등으로 화기애애한 시간을 보내던 중이었다. 그러던 중 누군가가 대통령 선거에 대해 열변을 토하기 시작했다. 점차 시간이 흐르면서 보수와 진보 진영으로 편이 갈라져 대판 논쟁이 벌어졌고, 급기야 삿대질을 하면서 멱살까지 잡는 일이 벌어졌다. 정치에 무관심한 나로서는 양쪽 모두를 비판했고, 결국 회색분자라는 소리를 들어야 했다.
무엇이 우리 세대를 이렇게 만들었는지 생각해 본다. 모두가 자신의 주장이 무조건 옳다고 우기면서 타인의 의견을 아예 들으려고 하지 않는다. 내 편 아니면 적, 그것이 그날 ‘아버지’들의 모습이었다. 양극단의 첨예한 대립과 충돌만 있을 뿐, 그 충돌의 완충 지대는 없었다. 상대방의 의견을 경청하고 논리적으로 이것저것 따지면서 대안을 찾고 타협하는 문화는 찾아볼 수 없었다. 중요한 것은 이러한 상황을 비단 그날의 모임에서만 일어난 해프닝으로 치부할 수 없다는 점이다.
올해는 국회의원 선거와 대통령 선거가 있다. 자신의 생각을 일방적으로 강요하고, 그것을 받아들이지 않으면 ‘보수 골통’, ‘좌파 빨갱이’라고 가차없이 단죄해 버리는 일들이 아마도 도처에서 일어날 것이다. 민주주의 사회는 자신의 의견을 자유롭게 표출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런데 지금 우리 사회는 자신의 의견을 쉽게 드러냈다가는 큰 봉변을 당하기 십상이다. 그만큼 상대방을 배려하고 이해하는 문화가 실종돼 버렸다. 사태가 이 지경이라면 나라를 둘로 나누는 게 낫겠다는 상상까지 해본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기성세대의 이러한 이분법적 대립과 갈등, 그리고 폭력이 어린 세대에게 그대로 답습되고 있다는 점이다. 긍정적이고 아름다운 꿈을 키우면서 올바른 사회성을 배워야 할 어린 학생들마저 기성세대의 부정적인 측면을 그대로 모방하고 있다. 특정인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고 집단으로 따돌리고 무자비한 폭력을 휘두른다.
주검으로까지 내몰린 피해 학생을 보면서 교육자의 한 사람으로서 무거운 책임감을 느낀다. 그런데 그 책임이 교육자에게만 있는 것일까. 이런 모든 불행한 사태의 책임은 전적으로 동물적 폭력과 광기를 때와 장소를 불문하고 휘두르는 우리 기성세대 모두에게 있다. 그러기에 최근 일어난 청소년 폭력과 관련된 불행한 사건은 기성세대를 향해 울리는 경종으로 받아들여야 한다.
이청준 소설 ‘다시 태어나는 말’을 보면 81세의 나이로 입적한 초의 스님의 ‘차 마심의 마음’이 나온다. 초의 스님에 따르면 진정한 차 마심은 “내가 누구에게 못할 짓을 하였나, 내가 누구를 원망하고 원한을 지닐 일은 해 오지 않았나. 그런 일들을 후회하고 용서하고 속죄하는” 마음, 곧 “남과 자신을 용서하고 그리고 세상사 모든 것을 용서하고 감사하는” 마음이 들어 있는 차 마심이다.
2012년 임진년 새해에 누구나 한두 가지 목표가 있다. 대개는 금연과 금주와 같은 금기 사항부터, 건강을 위한 운동, 좋은 직장에 취직하는 것, 승진, 가정의 화목함 등을 실천 목표로 삼을 것이다. 여기다 초의 스님의 차 마시는 마음처럼 남과 자신을 용서하고 세상사 모든 것에 감사하는 마음을 지녀보겠다는 목표를 설정하면 어떨까.
우리 사회에 만연한 대립과 갈등의 깊은 골을 메우지 못한다면 한국 사회는 힘들게 도달한 선진국의 문턱에서 주저앉고 말 것이다. 경제성장이니 분배니 하는 문제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지금 간절히 필요한 것은 한국 사회를 진정 인간다운 삶이 가능한 사회로 만드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 보수든 진보든, 좌파든 우파든, 그 모든 것을 포용하면서 용서하고 감사하고 사랑하는 사람이 지도자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2012-01-10 30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