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GAO 보고서 동해 대신 ‘일본해’ 표기

美GAO 보고서 동해 대신 ‘일본해’ 표기

입력 2010-06-30 00:00
수정 2010-06-30 07:2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美지명위원회,‘East Sea’는 없고 ‘Tong-hae’만 등재

 미국 내에서 한국의 동해(East Sea) 단독표기 혹은 일본해(Sea of Japan)와의 병기가 좀처럼 이뤄지지 않고 있다.

 미국 의회 소속인 회계감사원(GAO)이 지난 24일 발간한 ‘탈북자 지위 및 재정착’과 관련한 보고서 가운데 ‘동아시아와 태평양 지역의 국가’를 소개한 지도에는 동해라는 표기 대신 일본해가 적혀있다.

 한반도와 관련한 보고서임에도 불구하고 정작 참고지도에는 한국이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있는 동해 단독표기는 고사하고,일본해와의 병기조차 하지 않은 것이다.

 이런 현상은 중앙정보국(CIA)과 국무부 등 미국 주요 행정부처 홈페이지의 국가별 정보란에 곁들여진 한반도 주변 지도에 동해를 여전히 일본해로 단독 표기하고 있는 관행과 무관치 않아 보인다.

 이들 부처의 홈페이지 지도에는 동해에 위치한 독도에 대해서도 일본이 선호하는 ‘리앙쿠르 암(Liancourt Rocks)’으로 여전히 표기하고 있다.

 리앙쿠르 암이라는 이름은 1849년 서양인으로는 처음으로 독도를 발견한 프랑스 포경선 ‘리앙쿠르 호’의 선원들이 선박명을 따서 지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2년전 독도를 ‘주권 미지정 지역’으로 표기했다가 원상회복했던 미국지명위원회(BGN)의 외국지명에 따르면 한국 정부가 지난 1992년부터 적극 홍보해온 동해의 영문표기인 ‘East Sea’는 동해의 표기로 등록조차 돼 있지 않은 상태다.

 미 지명위원회의 데이터베이스인 지오넷에서 ‘East Sea’를 검색하면 독도에 대한 정보는 전혀 나오지 않고 브리티시 버진 아일랜드의 ‘East Seal Dog’과 이스라엘 사해(Dead Sea)의 변형어만 소개돼 있다.

 대신 한국어 발음인 ‘Tong-hae’로 검색할 경우,‘Tong-hae’는 관습적(Conventional) 표현인 ‘일본해’의 하위개념으로 간주되는 변형어(Variant)로만 등재돼 있다.

 반면 일본을 등장시킨 변형어는 Tong-hae처럼 일본발음을 영어식으로 옮긴 ‘Nihon-kai’,‘Nippon-kai’ 등 2가지가 수록돼 있는 것은 물론 영어식 표기인 ‘Japan Sea’,프랑스식 표기인 ‘Japan,Mer du’,러시아식 표기인 ‘ Yaponskoye More’ 가 소개돼 있다.

김형재 서울시의원, 서울역사박물관 주관 ‘광복 80주년 기념 특별전’ 개막식 참석

서울시의회 김형재 의원(국민의힘, 강남2)은 지난 4일 서울역사박물관에서 열린 광복 80주년 기념 특별전 ‘국무령 이상룡과 임청각’과 ‘우리들의 광복절’ 공동 개막식에 참석해 축사를 전했다. 이번 특별전은 서울역사박물관과 서울시 문화본부가 공동 주최하며, 광복 80주년을 맞아 광복의 역사적 의미를 재조명하고 시민들과 함께 기억하기 위해 기획됐다. 개막식에는 김형재 의원을 비롯해 박물관 및 문화계 인사, 연구자, 시민 등 100여 명이 참석해 뜻깊은 자리를 함께했다. ‘국무령 이상룡과 임청각’ 전시는 많은 독립지사를 배출한 안동시와의 교류협력 속에서 만주지역 무장독립투쟁을 이끈 상해 임시정부 초대 국무령이셨던 이상룡 선생과 이상룡 선생의 고택 임청각의 역사를 조명할 예정이며, ‘우리들의 광복절’ 전시의 경우 문학, 음악, 영화 등 대중문화 속 광복절을 되새기며 시민의 기억을 담아낼 계획이다. 김 의원은 이날 축사에서 “단재 신채호 선생님께서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고 하셨고, 역사학자 E.H.Carr는 ‘역사는 되풀이된다’고 했다”며 “그런 의미에서 광복 80주년을 맞아 서울시와 서울역사박물관이 함께 마련한 이번 특별전은 매우 시의적절하고 의
thumbnail - 김형재 서울시의원, 서울역사박물관 주관 ‘광복 80주년 기념 특별전’ 개막식 참석

 워싱턴=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