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빚더미’ 美초대형교회 파산끝 매각 추진

‘빚더미’ 美초대형교회 파산끝 매각 추진

입력 2011-05-28 00:00
수정 2011-05-28 17:1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국 개신교계에서도 유명한 미국 캘리포니아주 소재 초대형 복음주의 교회인 수정교회(Crystal Cathedral)가 파산 끝에 건물을 팔기로 했다.

수정교회는 교회 건물 등 주요 부동산 대부분을 매각한 후 리스 방식으로 임대하는 내용의 회생계획을 27일(현지시각) 법원에 제출했다고 이 교회 파산 변호사인 마크 윈스롭이 밝혔다.

교회가 제출한 회생계획은 유리 외벽으로 뒤덮인 유명한 예배당 건물 등 주요 부동산 대부분을 오렌지카운티 소재 부동산 투자업체 ‘그린로 파트너스’에 4천700만달러에 매각하고, 그 대금으로 건축비 상환금 3천600만만달러와 납품업체 미지급금 등 채무 1천만달러를 청산하는 내용이다.

교회는 부동산 소유권을 넘기더라도 본당 건물을 리스 방식으로 임대키로 하고 향후 15년간 사용권을 보장받았기 때문에 교인들은 앞으로도 계속 같은 곳에서 예배를 드릴 수 있다고 설명했다.

법원은 오는 7월 심리를 거쳐 교회의 회생계획 승인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미국 ‘메가처치(megachurch)’의 원조격인 수정교회는 으리으리한 교회건물과 자동차극장(drive-in)형 예배, TV 설교 방송인 ‘능력의 시간(Hour of Power)’ 등으로 한국 개신교계도 잘 알려져 있다.

수정교회라는 이름처럼 교회 외벽은 유리 1만664장으로 덮여 있고, 내부에는 세계 최대 파이프오르간이 설치돼 있다.

한 때 출석교인 수 1만명이 넘던 수정교회가 기울기 시작한 것은 지난 2006년 로버트 H. 슐러(84) 목사가 아들에게 담임목사직을 물려준 이후부터라는 시각이 일반적이다.

이후 부자간ㆍ남매간 불화로 아들 슐러 목사가 2008년 교회를 떠나는 등 내부 갈등을 겪었다.

교인 감소에 세계 경제위기가 겹치면서 재정이 악화일로로 치달았고 결국 교회는 지난해 10월 법원에 파산신청을 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