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CLA 법대에 ‘주식 사기범’ 고액 기부 논란

UCLA 법대에 ‘주식 사기범’ 고액 기부 논란

입력 2011-08-25 00:00
수정 2011-08-25 03:2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권 훈 특파원= 미국 명문대학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주립대학(UCLA) 법과대학원이 주식 사기 전과자의 고액 기부금을 놓고 시끄럽다.

24일 (현지시간) 로스앤젤레스타임스(LAT)에 따르면 UCLA 법대는 로웰 밀켄이라는 동문에게 1천만달러라는 거액의 기부금을 받았다.

UCLA 법대는 기부자의 이름을 따 ‘밀켄 연구 과정’을 신설할 예정이다.

그러나 저명한 상법 전문가인 린 스타우트 교수가 밀켄이 20년 전 주가 조작 사건에 연루된 전력을 들어 기부금 접수는 물론 밀켄의 이름을 딴 과정 신설에 공개적으로 반대하고 나서 논란이 됐다.

밀켄은 1991년 주가 조작 혐의로 연방 당국에 의해 주식 관련 업종 종사 금지 처분을 받았다. 형사 처벌은 받지 않았지만 사실상 동업 관계이던 형 마이클 밀켄은 교도소까지 다녀왔다.

이후 세월이 흘러 밀켄 형제는 자선사업가로 명성을 얻었고 동생 로웰 밀켄은 특히 교육 분야에 많은 돈을 기부하는 큰 손으로 거듭났다.

회사법과 증권 관련 법률 분야에서 특히 명성이 높은 스타우트 교수는 캘리포니아주립대학(UC) 마크 유도프 총장과 UCLA 진 블록 총장에게 각각 편지를 보내 “밀켄의 기부금을 받는 것은 심각한 윤리적 문제를 일으킬 수 있고 대학의 명성을 훼손하는 일”이라고 밝혔다.

LAT와 인터뷰에서 스타우트 교수는 “밀켄 연구 과정이라는 게 생기면 학생들이 뭘 배우겠냐”면서 “주식 시장에서 불법 행위를 벌이다 퇴출된 사람은 UCLA 법대 학생들이 본받아야 할 인물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돈을 대학에 기부하고 싶으면 그런 전력과 상관없는 분야에 하면 된다”면서 “만약 밀켄이 암 전문 병원에 돈을 보냈다면 아무런 문제가 없겠지만 법대는 아니다”라고 거부감을 거듭 표명했다.

하지만 UCLA 수뇌부의 생각은 다르다.

블록 총장은 “기부금을 접수받을 때 대학 당국은 윤리적인 문제점이 없나 면밀하게 살피지만 아무런 문제점을 발견하지 못했다”고 못을 박았다.

UCLA 법대 레이철 모런 학장도 “스타우트 교수가 왜 딴죽을 거는지 이해가 안된다”고 불쾌감을 표시했다.

동료 교수이자 역시 상법 전문가인 케네스 클리 교수는 “동문 독지가들에게 더 많은 기부금을 받으려면 하는 수 없지 않느냐”고 현실을 받아들이자고 말했다.

이번 논란은 비단 UCLA 법대에 한정된 것은 아니라고 LAT는 지적했다.

상당수 대학이 거액을 낸 기부자의 이름을 딴 과정을 개설하거나 석좌교수를 임명하고, 심지어는 건물 이름에 기부자의 이름을 넣기도 하지만 나중에 범죄자가 되면 고민에 빠진다.

대응도 대학마다 다르다.

2005년 뉴저지의 세턴 홀 대학은 타이코 인터내셔널 최고경영자이던 데니스 코즐롭스키가 주가 조작 등으로 유죄 판결을 받자 건물과 도서관 앞 광장에 붙어 있던 코즐롭스키의 이름을 없앴다.

동문인 코즐롭스키의 기부를 받아 지은 건물이지만 도덕적으로 비난받는 인물의 이름을 놔둘 수 없다는 이유에서다.

반면 휴스턴 대학은 희대의 분식 회계 사건을 저질러 미국을 충격에 빠트린 엔론의 창립자 케네스 레이의 이름을 딴 석좌교수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