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처 사망> “가정은 잘할 것이 없을 때 오는 곳”…말말말

<대처 사망> “가정은 잘할 것이 없을 때 오는 곳”…말말말

입력 2013-04-09 00:00
수정 2013-04-09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8일 타계한 마거릿 대처 전 영국 총리는 “웅변이 아닌 행동만을 해나가겠다”며 신자유주의 개혁을 밀어붙여 영국 경제 부활의 주춧돌을 놓은 ‘철의 여인’으로 통한다.

대처 전 총리가 생전에 남긴 주요 발언들을 정리한다.

▲ “뭔가 말해야 한다면 남성에게, 뭔가 이뤄져야 한다면 여성에게 요구하라.” (1965년 연설)

▲ “비전이 없는 사회의 인간은 틀림없이 망한다.” (1975년 2월 보수당 대표 수락 연설)

▲ “영국은 ‘철의 여인’을 필요로 하고 있다.”(1979년 총선 유세 발언)

▲ “이제 내 돈을 돌려받길 원한다.” (1980년 더블린 유럽연합 정상회담에서)

▲ “나는 논쟁도, 토론도 좋아한다. 하지만 그냥 앉아서 나에게 동의해 주길 바라지 않는다. 그것은 그들의 직업이 아니다. (1980년)

▲ “내 아들 구출에 소요된 비용은 내가 내겠다. 그래야 납세자들에게 (개인적 필요 때문에) 한 푼의 세금도 사용되지 않았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1980년 2월 파리-다카르 랠리에 참가했다가 아프리카 사막에서 실종된 아들 마크가 6일 만에 구출된 뒤)

▲ “침략은 반드시 응징당하고 도둑이 훔친 물건을 가지고 도망갈 수 없다는 것을 우리는 싸워서 보여줬다.” (1982년 7월 포클랜드 전쟁 때)

▲ “알래스카가 침략당해 전쟁을 벌인다면 그때에는 나도 이를 국제기구에 넘기겠다.” (1982년 포클랜드 전쟁 당시 로널드 레이건 미국 대통령이 국제기구를 통한 협상 제안을 맞받으면서)

▲ “사람들이 자기 자신에 대해 최고의 신념을 잃고 용기와 반항심을 잃으면 언제라도 전제정치가 시작될 수 있다. 전제정치는 거기에 반대할 매력이 없으면 언제든지 나타날 수 있다.” (1984년 7월 탄광 파업 당시)

▲ “핵무기가 없는 세계를 상상해본 적이 있는가. 지금보다 훨씬 더 불안정하고 위험한 상황이 펼쳐질 것이다.” (1987년 러시아 크렘린궁에서)

▲ “이제 할머니가 됐다.” (1989년 3월 손자 출생 때)

▲ “웅변일랑 남들이 하도록 떠넘기고 나는 행동만을 해나가겠다.” (1990년)

▲ “노, 노, 노(No! No! No!).” (1990년 조프리 하우 부총리가 물러나며 총리 직책이 도전받을 것이라고 말했을 때)

▲ “나는 계속 싸웠다. 싸워서 이겼다.” (1990년 11월 총리관저에서)

▲ “가정은 더이상 잘할 것이 없을 때 오는 곳이다.” (1991년 5월 퇴임 후 6개월 무렵)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