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의 스파이짓 선 넘었다’…美정보당국 경계

‘이스라엘의 스파이짓 선 넘었다’…美정보당국 경계

입력 2014-05-08 00:00
수정 2014-05-08 10:0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맹방’ 이스라엘의 미국 내 스파이 행위가 선을 넘고 있다는 목소리가 미국 정보당국과 의회에서 나오고 있다고 시사주간지 뉴스위크가 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 매체에 따르면 미국 국토안보부(DHS)와 국무부, 연방수사국(FBI), 방첩 담당조직 소속 관리들은 최근 몇 달간 수차례 브리핑을 통해 의회에 이런 우려를 전달했다.

정보 당국자들은 이스라엘이 무역사절단이나 미국 기업들과의 방위기술 제휴 등을 가장해 스파이 활동을 하고 있으며, 미국의 산업·기술 관련 기밀이 주요 목표라고 보고했다.

이들은 이스라엘의 행위가 일본이나 독일, 프랑스, 영국 등 가까운 우방국들과 견줘서도 훨씬 심각한 정도라고 하원 법사위원회·외교위원회 등에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 의회는 최근 이스라엘을 미국의 비자면제프로그램(VWP) 대상국에 포함시킬지를 두고 관계 부처들과 비공개 브리핑을 열어왔으며, 이 자리에서 정보 당국의 우려가 표출됐다고 뉴스위크는 전했다.

이스라엘 국민에 무비자 입국을 허용하면 정보요원들이 더 쉽게 미국을 드나들게 될 수 있다는 것이다.

VWP는 관광·상용 목적에 한해 최대 90일간 비자 대신 전자여행 허가를 받아 미국을 방문할 수 있도록 한 제도로, 한국을 비롯해 미국 정부가 지정한 38개국에 적용된다. 이스라엘은 자국에도 VWP를 적용해 달라며 최근 집중적으로 로비를 해왔다.

지난해 말 열린 브리핑에 참석했던 미국 의회 전직 관계자는 “미국과 가까운 다른 어느 나라도 이스라엘처럼 지속적으로 선을 넘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올해 1월 열린 브리핑 내용을 접한 또 다른 의회 내 소식통은 당국자들의 증언이 “매우 놀라웠고 심지어 무서울 정도였다”고 전했다.

그러나 아비그도르 리버만 이스라엘 외무장관은 자국 라디오 방송에서 “그런 혐의를 일절 인정할 수 없다”며 보도를 전면 부인했다.

이 가운데 미국의 수전 라이스 국가안보보좌관은 취임 후 처음으로 7일 이스라엘을 방문해 베냐민 네타냐후 총리 등과 회동했다고 AFP통신이 전했다.

라이스 보좌관은 이스라엘·팔레스타인 간 평화협상 결렬 문제와 이란 핵 등 역내 사안을 광범위하게 논의했다고 백악관은 밝혔다.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 출근시간대 혼잡 해소 8333번 맞춤버스 운행 예고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강동3, 국민의힘)이 강동구 주민들의 출근길 교통난 해소를 위한 반가운 소식을 전했다. 그간 극심한 혼잡으로 주민 불편이 컸던 3324번 버스 노선의 혼잡도 완화를 위해 출근시간대 전용 신설노선 8333번이 12월 중 운행에 들어갈 예정이다. 지난 13일 서울시로부터 공식 보고를 받은 박 의원은 “오랜 기간 주민들이 겪어온 출근시간대 버스 혼잡 문제가 드디어 해결의 실마리를 찾게 됐다”며 “신설 노선이 강동구 주민들의 출근길을 한결 편안하게 만들어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신설되는 맞춤버스 8333번은 오전 6시 40분부터 8시 05분까지 총 8회 운행되며, 암사역사공원역–고덕비즈벨리–강일동 구간을 단거리로 반복 운행한다. 출근시간대에 집중되는 승객을 분산시켜 기존 3324번의 부담을 덜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간 3324번 버스는 평일 12대의 차량으로 운행되며 강일동을 경유해 왔지만, 출근시간대 최대 혼잡도가 160%를 넘어서며 승객 불편과 안전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특히 고덕비즈벨리 기업 입주 증가와 유통판매시설 확대로 승차 수요가 급증하면서, 기존 노선만으로는 혼잡 완화가 어려운 상황이었다. 박
thumbnail -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 출근시간대 혼잡 해소 8333번 맞춤버스 운행 예고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