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크스 “내가 총격 목표였던 듯…동요하지 않는다”
14일(현지시간) 덴마크 코펜하겐의 한 카페에서 발생한 총기 난사 사건의 표적으로 추정되는 스웨덴 출신 예술가 라르스 빌크스(68)는 이슬람 예언자 무함마드의 만평을 그려 테러 위협을 받아온 인물이다.그는 지난 2007년 이슬람권이 종교의 자유를 ‘자기 검열’한다는 것을 풍자하고자 무함마드의 머리에 개의 몸을 붙인 스케치 그림을 그려 유명세를 탔다.
이 만평은 당시 한 지역 예술 전시회에 출품될 예정이었으나 이 그림에 반발한 이슬람 극단주의자들이 위협을 가하면서 전시회 자체가 취소됐다.
이후 이 만평이 2007년 8월 스웨덴의 지역신문 ‘네리케스 알레한다’에 실리면서 이슬람 교도들의 항의 시위가 벌어지는 등 또다시 거센 반발이 일었다.
이슬람권에서는 존경받는 예언자인 무함마드의 모습을 그리는 행위 자체를 엄격히 금지하며 특히 개는 불결한 존재로 간주하기 때문이다.
이 일이 있은 뒤로 빌크스는 끊임없는 살해 위협을 받아야 했다. 다른 나라보다 테러 위험이 적었던 스웨덴 역시 테러의 표적이 됐다.
한 알카에다 연계단체는 2007년 빌크스 살해에 10만 달러(약 1억원)의 포상금을 내걸었으며 예멘의 알카에다 아라비아반도지부(AQAP)는 2013년 ‘이슬람을 거역하는 범죄자’라며 빌크스를 공개수배하기도 했다.
2010년 5월에는 스웨덴 국적을 지닌 코소보 출신의 형제가 빌크스의 집에 화염병 공격을 가한 혐의로 체포됐다. 당시 빌크스는 집을 비운 상태여서 화를 면했다.
또 같은 달 한 남성이 스웨덴 웁살라 대학에서 강의하던 빌크스를 머리로 들이받는 사건도 있었다.
2010년 12월 스톡홀름 중심가에서 발생해 1명이 숨지고 2명이 부상한 연쇄 차량폭탄테러도 빌크스의 만평이 계기가 됐을 것으로 추정된다.
당시 폭발이 일어나기 10분 전쯤 스웨덴 일부 언론과 경찰에 “무함마드에 대한 경멸을 지속하고 빌크스를 지지하는 한 우리는 행동에 나설 것”이라는 이메일 협박장이 전달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런가 하면 지난해 1월에는 ‘지하드 제인(Jihad Jane)’이라 불리는 미국인 여성 테러리스트 칼린 라로즈가 빌크스 살해 음모에 가담한 혐의 등으로 징역 10년을 선고받았다.
이처럼 계속되는 위협 때문에 그는 2010년부터 스웨덴 경찰의 보호를 받아왔으며 이날 코펜하겐 행사장에도 경호요원들이 그의 신변을 보호하기 위해 곁에 있었다고 로이터통신은 전했다.
특히 빌크스는 지난달 프랑스 주간지 ‘샤를리 에브도’가 테러를 당한 이후 자신에 대한 경호를 강화해 줄 것을 스웨덴 당국에 요청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달 월스트리트저널(WSJ)과의 인터뷰에서는 “경찰의 경호없이는 어디도 갈 수 없다”고 토로하기도 했다.
빌크스는 이날 총격 사건 이후 “내가 이번 총격의 표적이었던 것 같다”며 “그 외에 다른 동기가 있었겠느냐”고 AP통신에 말했다.
그는 총격 당시 상황과 관련, 자신을 비롯한 참석자들은 강연장 안에 모여 있었다면서 “사람들이 강연장 밖으로 나가는 쉬는 시간에 총격이 발생했다면 상황은 더욱 나빴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번 총격이 샤를리 에브도에 대한 테러 사건에서 영향을 받은 것 같다고 덧붙였다.
빌크스는 이날 총격으로 발생한 사상자들에 대해 애도를 표하면서도 자신은 이번 사건으로 “전혀 동요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무함마드 풍자 만평으로 끊임 없는 살해 위협에 시달려 왔다는 점에서 그는 프랑스 테러 사건으로 숨진 샤를리 에브도의 편집장 스테판 샤르보니에를 연상시킨다.
실제로 두 사람은 지난해 10월 ‘빌크스 위원회’가 마련한 한 시상 행사에서 만난 적이 있다.
빌크스를 지지하는 모임인 빌크스 위원회는 샤를리 에브도를 ‘가장 위대한 표현의 자유 옹호자’로 선정해 시상했다.
빌크스가 표적이 된 코펜하겐의 카페 행사도 빌크스 위원회가 역시 이슬람 모독 혐의로 살해 위협을 받는 영국 작가 살만 루시디를 기념하는 날에 맞춰 주최한 행사였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