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유네스코유산 결정 국가에 차관급 파견…막판 굳히기

日, 유네스코유산 결정 국가에 차관급 파견…막판 굳히기

입력 2015-05-14 08:43
수정 2015-05-14 08:4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조선인 강제노동장소 포함 산업시설 세계유산 등록 외교전

조선인 강제노동 장소가 포함된 산업 시설의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 등록에 쐐기를 박기 위한 일본의 막판 로비전이 본격화했다.

일본 정부는 오는 7월초 세계유산 등록을 결정하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위원국(한국과 일본 포함 총 21개국)에 외무성 등 관계 부처 부(副)대신과 정무관(이상 차관급 정무직)을 잇달아 파견하고 있다고 NHK가 14일 보도했다.

일본 정부는 위원국들에 총 7명의 부대신 또는 정무관을 파견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 기우치 미노루(城內實) 외무성 부대신이 세계유산위원회 의장국인 독일을 이미 방문했으며, 나카야마 야스히데(中山泰秀) 외무성 부대신은 부의장국 중 하나인 자메이카를 다음 주 방문할 예정이라고 NHK는 전했다.

유네스코 자문기구인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는 지난 4일, 일본 규슈(九州) 지역을 중심으로 8개 현에 걸친 총 23개 산업시설의 세계 문화유산 등록을 유네스코에 권고했다. 일본 정부가 추천한 이들 시설에는 나가사키(長崎) 조선소, 하시마(端島.일명 ‘군함도’) 탄광 등 조선인 수만 명이 강제노동한 현장 7곳이 포함됐다.

조선인 강제노동 문제를 거론하지 않은 채 일본 산업시설들을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등재하는 것은 인권 차원에서 문제가 있다는 것이 한국 정부의 입장이다. 하지만 일본 정부는 이를 ‘정치공세’로 규정하며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양국 외교 당국은 오는 22일 도쿄에서 이 문제에 대해 협의할 예정이다.

이종배 서울시의원 “동대문구 시립도서관, 조기 착공해 문화복합 랜드마크로 완성해야”

서울시의회 이종배 의원(국민의힘, 비례대표)은 지난 14일 제333회 정례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행정사무감사에서 “동대문구 시립도서관 설계가 다른 지역에 비해 지나치게 길어지고 있다”며 “서울시가 조기 착공을 좀 더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올해 7월 투자심사에서 주민편익시설 보완 요청이 있었던 것은 이해하지만, 설계 변경 작업이 과도하게 지연돼서는 안 된다”면서 “기본설계가 이미 상당 부분 마무리된 만큼, 수정 설계에 박차를 가해 상반기 착공이 가능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문화본부장은 “투자심사에서 주민시설 보완과 복합화 요구가 제기돼 이를 반영하는 과정에서 설계 변경이 필요했다”며 “배관·배선 등 세부적인 구조까지 재조정해야 하는 만큼 시간이 소요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답변을 들은 이종배 의원은 “도시기반시설본부에서는 물리적 제약으로 상반기 착공이 어렵다고 하지만, 시민들의 기대가 큰 만큼 최대한 빠르게 착공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라”고 주문했다. 또한 이 의원은 “동대문 시립도서관은 당초 공연·전시 등 문화복합 기능 중심이었으나, 투자심사 의견 반영으로 주민 교육·편익시설이 추가되며 기능이 확장된 것
thumbnail - 이종배 서울시의원 “동대문구 시립도서관, 조기 착공해 문화복합 랜드마크로 완성해야”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