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14일 발표할 전후 70년 담화(아베 담화) 초안에 ‘사죄’ 문구가 포함돼 있지 않다고 아사히신문이 9일 보도했다.
이미지 확대
아베 신조 일본 총리 AP=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아베 신조 일본 총리 AP=연합뉴스
아베 총리가 지난 7일 밤 회동에서 연립여당인 자민·공명당 간부들에게 보여준 담화 초안에는 전후 50년 담화인 무라야마(村山) 담화와 전후 60년 담화인 고이즈미(小泉) 담화에 포함된 ‘사죄’는 물론 그와 유사한 문구도 없었다고 아사히는 전했다.
다만, 담화 초안은 과거 전쟁에 대한 ‘반성’을 포함했다. 그러나 일본이 전쟁 당시에 행한 행위가 ‘식민지 지배와 침략’이었다는 점을 담화가 명확히 판단하지 않았다고 아사히는 소개했다.
이에 대해 공명당 측은 “과거 담화를 되밟는다고 총리는 말하지만 사죄의 의미가 세계 각국에 전해지지 않으면 안 된다”며 사죄의 표현을 담을 것을 요구했다. 또 “일본이 왜 반성을 하는지, 그 대상을 명확히 하지 않으면 (의미가) 전해지지 않는다”며 식민지배와 침략에 대한 반성임을 명확히 할 것을 촉구했다.
요미우리 신문에 의하면, 야마구치 나쓰오(山口那津男) 공명당 대표는 이 자리에서 “중국, 한국과의 관계 개선에 이바지하는 표현이면 좋겠다”고 말했다. 그는 또 “(아베 총리가) 역대 총리 담화를 계승한다면 상대방(한국, 중국 등)에게 그 점이 전해지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등 중국과 한국의 반응을 감안한 담화를 내도록 주문했다.
이런 요구에 대해 아베 총리는 “알겠다”고만 답한 것으로 전해졌다.
7일 회동에는 야마구치 공명당 대표와 다니가키 사다카즈(谷垣禎一) 자민당 간사장 등이 참석했고 아베 총리의 ‘복심’인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이 배석했다.
자민당 간부는 담화와 관련한 공명당과 대면 협의는 7일 회동이 마지막이라고 전했다. 그러나 아사히의 취재에 응한 공명당 간부는 “아직 총리에게 일임한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아베 총리는 각의(국무회의) 결정을 거쳐 담화를 발표하기로 한 만큼 공명당의 의견을 무시할 수 없다. 만장일치제인 각의 결정의 원칙상 공명당 소속 각료인 오타 아키히로(太田昭宏) 국토교통상의 서명을 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결국 공명당의 요구를 아베 총리가 얼마나 반영하는지가 담화의 최종 변수로 부상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