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피해할머니, 워싱턴 주미일본대사관 앞에서 “사죄” 요구

위안부 피해할머니, 워싱턴 주미일본대사관 앞에서 “사죄” 요구

입력 2016-03-10 08:29
수정 2016-03-10 08:2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길원옥 할머니 두번째 워싱턴DC 수요집회 참가…이용수 할머니 뉴욕서 한목소리

일본군위안부 피해 할머니가 다시 미국 워싱턴D.C.의 주미 일본대사관을 찾아 군위안부 문제에 대한 일본의 진정성 있는 사과를 요구했다.

전날 미국을 찾은 길원옥 할머니는 9일(현지시간) 주미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1221번째 수요집회에 참석해 “잘못했음을 깨달았다면 사죄하고 배상하는 것이 원칙”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주미 일본대사관 앞에서 일본군위안부 문제 해결을 요구하는 수요집회가 열린 일은 지난해 7월에 이어 두 번째다.

길 할머니는 “사람이 죄를 안 지을 수는 없지만, 내가 죄를 지었음을 알게 되면 바로 사죄할 줄 알아야 사람”이라며 일본 정부도 군위안부 피해자들에게 “무릎꿇고 사죄할 때가 올 줄 믿는다”고 말했다.

비교적 또렷한 목소리로 발언하던 길 할머니는 약 2분이 지나자 “(햇빛이) 뜨거워서” 힘들다며 말문을 닫았다.

수요집회가 열릴 당시 워싱턴D.C.의 낮기온은 약 25℃였다.

집회에 참석한 윤미향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상임대표는 한국과 일본 정부가 지난해 말 군위안부 문제의 합의를 발표할 때 “최종적이고 불가역적인 내용이라고 선언했지만, 그 이후 일본 정부는 계속 군위안부 피해자들의 명예를 훼손하는 망언을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윤 대표는 ‘한일 양국 정부가 상식적이고 합법적으로 일본군위안부 문제를 해결하고, 일본 정부는 국가의 법적 책임을 인정하고 사과하라’는 내용의 성명서를 발표한 뒤, 이런 내용이 담긴 항의 서한을 주미 일본대사관에 전달했다.

뉴욕을 방문 중인 일본군위안부 피해자 이용수 할머니는 이날 오후 미국 뉴저지 주 해켄색에 있는 일본군 위안부 기림비를 찾아 참배했다.

이 할머니는 앞서 오전에는 뉴욕 퀸스보로 커뮤니티대학 내 쿠퍼버그 홀로코스트센터를 방문하고, 홀로코스트 생존자 및 이 센터 인턴십 과정의 학생들과 간담회를 가졌다.

간담회에서 이 할머니는 한일 정부 간의 ‘위안부 합의’를 비판하면서 일본 정부의 공식 사과와 법적 배상을 촉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형재 서울시의원, 서울역사박물관 주관 ‘광복 80주년 기념 특별전’ 개막식 참석

서울시의회 김형재 의원(국민의힘, 강남2)은 지난 4일 서울역사박물관에서 열린 광복 80주년 기념 특별전 ‘국무령 이상룡과 임청각’과 ‘우리들의 광복절’ 공동 개막식에 참석해 축사를 전했다. 이번 특별전은 서울역사박물관과 서울시 문화본부가 공동 주최하며, 광복 80주년을 맞아 광복의 역사적 의미를 재조명하고 시민들과 함께 기억하기 위해 기획됐다. 개막식에는 김형재 의원을 비롯해 박물관 및 문화계 인사, 연구자, 시민 등 100여 명이 참석해 뜻깊은 자리를 함께했다. ‘국무령 이상룡과 임청각’ 전시는 많은 독립지사를 배출한 안동시와의 교류협력 속에서 만주지역 무장독립투쟁을 이끈 상해 임시정부 초대 국무령이셨던 이상룡 선생과 이상룡 선생의 고택 임청각의 역사를 조명할 예정이며, ‘우리들의 광복절’ 전시의 경우 문학, 음악, 영화 등 대중문화 속 광복절을 되새기며 시민의 기억을 담아낼 계획이다. 김 의원은 이날 축사에서 “단재 신채호 선생님께서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고 하셨고, 역사학자 E.H.Carr는 ‘역사는 되풀이된다’고 했다”며 “그런 의미에서 광복 80주년을 맞아 서울시와 서울역사박물관이 함께 마련한 이번 특별전은 매우 시의적절하고 의
thumbnail - 김형재 서울시의원, 서울역사박물관 주관 ‘광복 80주년 기념 특별전’ 개막식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