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 채팅봇 ‘테이’ 또 탈선…뜻 모를 메시지 반복

MS 채팅봇 ‘테이’ 또 탈선…뜻 모를 메시지 반복

입력 2016-03-31 11:36
수정 2016-03-31 11:3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문정식 기자= 지난주 첫선을 보였다가 곧바로 가동이 중단된 마이크로소프트(MS)의 인공지능(AI) 채팅봇 ‘테이’(Tay)가 30일 거듭 탈선 사고를 일으켰다.

파이낸셜 타임스에 따르면 테이는 30일 오전 트위터에 재등장했으나 “당신은 너무 빨라요. 쉬어보세요”라는 엉뚱한 말을 반복했다. 테이가 보낸 트위트에는 욕설이나 “술 때문이었어요”라는 사과성 메시지도 포함돼 있었다.

MS 개발팀은 곧바로 테이의 트위트를 중단한 뒤 프로그래밍의 문제가 아니라, 테스트 과정에서 발생한 실수였다고 해명했다. 개발팀이 수정 작업을 하는 동안에는 오프라인 상태를 유지하지만 실수에 의해 일시적으로 활성화됐다는 것이다.

파이낸셜 타임스는 MS의 사티야 나델라 CEO(최고경영자)가 2016년 개발자 회의에서 개막 연설을 하기 몇 시간 전에 이같은 해프닝이 벌어졌다고 꼬집었다. 이번 회의는 인공지능과 증강현실 제품이 주요 관심사가 될 것으로 알려졌다.

MS는 지난주 야심차게 테이를 공개했지만 부적절한 발언이 논란에 휩싸이자 16시간 만에 퇴장시켰다. 테이는 컴퓨터가 인간 언어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MS의 인공지능 실험 프로젝트다.

MS 개발팀은 다수의 트위터 사용자들이 테이에게 욕설과 인종, 성차별 발언, 자극적인 정치적 발언 등을 하도록 유도한 때문이었다고 해명하면서 장문의 사과문을 내야 했다.

MS측은 그러나 중국에서 선보인 채팅봇 ‘샤오아이스’(XiaoIce)는 성공적이라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