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빅맥 아시아 두번째로 비싸…“원화값 달러대비 23% 저평가”

韓 빅맥 아시아 두번째로 비싸…“원화값 달러대비 23% 저평가”

입력 2016-07-26 13:48
수정 2016-07-26 13:4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국 빅맥지수 56개국 중 23위…싱가포르 20위·日 32위·中 44위

맥도날드 빅백.
맥도날드 빅백.
한국의 빅맥 가격이 아시아에서 싱가포르 다음으로 비싼 것으로 집계됐다.

원화 가치가 올해 초대비 상승하면서 한국의 빅맥지수는 전 세계 56개국 중 24위에서 23위로 한 계단 상승했다.

26일 경제주간지 이코노미스트에 따르면 한국의 7월 빅맥지수는 3.86으로 지난 1월 3.59보다 7.5%(0.27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한국에서 맥도날드 빅맥 햄버거 1개 가격(4천400원)을 달러로 환산하면 3.86달러였다는 뜻이다.

미국에서 빅맥 가격은 5.04달러다. 원화는 달러화보다 23.5% 저평가됐다.

이는 원/달러 환율 1,140.95원을 기준으로 한 것으로 빅맥지수로 따진 적정환율은 873원이다. 지난 1월 기준환율은 달러당 1,197.75원이었다.

올해 초보다 이달 원화가 강세를 보이면서 한국의 빅맥지수 기준 순위는 56개국 중 지난 1월 24위에서 6개월 만에 23위로 한 계단 상승했다.

빅맥 가격이 가장 비싼 나라는 스위스로 1개당 6.59달러에 달한다. 이는 스위스프랑 가치가 달러화보다 30.8% 고평가됐음을 의미한다.

이어 노르웨이(5.51달러), 스웨덴(5.23달러), 핀란드(5.06달러)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아시아에서는 싱가포르의 빅맥 가격이 4.01달러로 가장 비쌌다. 올해 초 3.27달러에 비해 급등했다.

올해 초 미국 달러화 대비 33.7% 저평가됐던 싱가포르 달러는 이달에는 저평가 정도가 20.4%로 줄어들었다.

일본의 빅맥 가격도 엔화가치가 올해 들어 고공행진을 하면서 지난 1월 3.12달러에서 이달 3.47달러까지 상승했다. 엔화가치 저평가 정도는 올해 초 36.7%에서 이달 31.2%로 완화됐다.

중국의 빅맥 가격 역시 올해 초 2.68달러에서 이달 2.79달러까지 상승했다.

달러화 대비 위안화 저평가 정도는 45.6%에서 44.7%로 소폭 줄어들었다.

빅맥 가격이 가장 싼 나라는 우크라이나(1.57달러), 말레이시아(1.99달러), 러시아(2.05달러), 남아프리카공화국(2.10달러), 대만(2.15달러), 멕시코(2.37달러), 인도(2.41달러), 폴란드(2.42달러), 홍콩(2.48 달러) 순이었다.

빅맥지수는 전 세계에 점포를 둔 빅맥 가격을 비교해 각국 통화의 구매력, 환율 수준 등을 평가하기 위해 만든 지수로, 이코노미스트가 1986년부터 상·하반기에 한 차례씩 발표한다.

빅맥 지수가 낮을수록 달러화보다 해당 통화가 저평가됐다는 의미다.

빅맥 지수는 전 세계 맥도날드 매장에서 비슷한 재료와 조리법으로 만들어 판매하는 빅맥 가격이 국가별로 다를 이유가 없다는 일물일가의 원칙을 전제로 각국의 통화가치가 적정한 수준인지 살펴보는 데 활용된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