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스트로 애도’ 논란 트뤼도 총리, 비난 후폭풍에 “독재자 인정”

‘카스트로 애도’ 논란 트뤼도 총리, 비난 후폭풍에 “독재자 인정”

류지영 기자
류지영 기자
입력 2016-11-28 10:58
수정 2016-11-28 10:5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쥐스탱 트뤼도(45) 캐나다 총리가 지난 25일(현지시간) 90세를 일기로 타계한 피델 카스트로 전 쿠바국가평의회 의장에 대한 온정적 논평으로 비난여론이 폭발하자 27일(현지시간) 서둘러 자신의 발언을 해명하며 진화에 나섰다.

 트뤼도 총리는 이날 공식 입장자료를 내고 “타계한 옛 국가지도자를 기리기 위한 의도였을 뿐”이라고 해명했다고 미국 언론들이 전했다.

 이어 카스트로의 부정적인 면을 무시했다는 비난을 의식한 듯 “그는 분명 분열적 인물이었고 인권 문제에서 큰 우려를 불러일으켰다”면서 “나는 (그런 사실에) 열린 마음이고 그것을 강조하기도 했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해 그는 이달 초 쿠바를 방문했을 때 인권 문제를 제기했다고 강조했다.

 국제회의 참석차 방문 중인 마다가스카르 현지에서 기자회견을 한 트뤼도 총리는 ‘카스트로가 독재자라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나오자 “그렇다”라고 수긍하기도 했다.

 그러나 트뤼도 총리는 “카스트로가 쿠바 국민의 마음속에 깊고 지속적인 충격을 남겼다는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트뤼도 총리는 전날 카스트로의 별세 소식을 전해 듣고 그를 “전설적인 지도자”라고 부르는 애도 성명을 발표했다.

 또 “피델 카스트로는 쿠바 국민을 위해 거의 반세기를 봉사한 전설적인 지도자”라며 “논란이 있긴 하지만 그의 지지자와 비판자 모두 쿠바 국민에 대한 그의 크나큰 헌신과 사랑을 인정할 것이다”라고 애도했다.

 이후 캐나다 안팎에서는 카스트로의 독재자 면모를 외면했다는 비난이 쏟아졌다.

 그러나 그의 해명에도 불구하고 캐나다 내 논란은 가라앉지 않고 있다.

 야당인 보수당 일부에서는 캐나다 정부 인사가 카스트로 장례식에 참석하지 말아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이종배 서울시의원 “동대문구 시립도서관, 조기 착공해 문화복합 랜드마크로 완성해야”

서울시의회 이종배 의원(국민의힘, 비례대표)은 지난 14일 제333회 정례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행정사무감사에서 “동대문구 시립도서관 설계가 다른 지역에 비해 지나치게 길어지고 있다”며 “서울시가 조기 착공을 좀 더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올해 7월 투자심사에서 주민편익시설 보완 요청이 있었던 것은 이해하지만, 설계 변경 작업이 과도하게 지연돼서는 안 된다”면서 “기본설계가 이미 상당 부분 마무리된 만큼, 수정 설계에 박차를 가해 상반기 착공이 가능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문화본부장은 “투자심사에서 주민시설 보완과 복합화 요구가 제기돼 이를 반영하는 과정에서 설계 변경이 필요했다”며 “배관·배선 등 세부적인 구조까지 재조정해야 하는 만큼 시간이 소요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답변을 들은 이종배 의원은 “도시기반시설본부에서는 물리적 제약으로 상반기 착공이 어렵다고 하지만, 시민들의 기대가 큰 만큼 최대한 빠르게 착공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라”고 주문했다. 또한 이 의원은 “동대문 시립도서관은 당초 공연·전시 등 문화복합 기능 중심이었으나, 투자심사 의견 반영으로 주민 교육·편익시설이 추가되며 기능이 확장된 것
thumbnail - 이종배 서울시의원 “동대문구 시립도서관, 조기 착공해 문화복합 랜드마크로 완성해야”

 류지영 기자 superryu@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