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여권, 벌써 권력이동…오바마에서 힐러리로

미국 여권, 벌써 권력이동…오바마에서 힐러리로

입력 2013-06-21 00:00
수정 2013-06-21 03:2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힐러리에 줄서기… 대권 지지 선언 속출에 ‘거품론’ 우려도

미국 집권 민주당의 권력구도가 벌써부터 버락 오바마 대통령에서 차기 대권 주자인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으로 이동하는 양상이다.

오바마 대통령이 집권 2기를 시작한 지 5개월밖에 지나지 않았지만 클린턴 전 장관에 대한 대권 지지 선언이 나오는가 하면 선거캠프 구성까지 거론되면서 무게추가 ‘미래권력’으로 급격히 기울고 있다.

특히 최근 국가안보국(NSA) 등의 민간인 정보수집 논란, 국세청(IRS) 표적 세무조사 의혹 등 악재로 오바마 대통령의 국정지지율이 추락하면서 ‘조기 레임덕’ 우려가 제기되는 것도 이런 분위기를 부추기고 있다.

클린턴 전 장관의 차기 대권 도전을 적극적으로 권유하는 것은 주로 여성 정치인들이다.

클레어 맥캐스킬(민주ㆍ미주리) 상원의원은 최근 클린턴 전 장관에 대해 공식 지지선언을 하면서 이른바 ‘힐러리 사단’이 건재하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지지자들이 정치자금을 지부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크리스틴 길리브랜드(민주ㆍ뉴욕) 상원의원도 “개인적으로 클린턴 전 장관에게 출마를 촉구하고 있다”면서 클린턴 전 장관이 출마하지 않는다면 직접 대권 도전에 나설 수 있다고 말했다.

클린턴 전 장관의 열렬한 지지자로 알려진 에드 렌델 전 펜실베이니아 주지사는 20일(현지시간) 의회전문매체 ‘더 힐’과 인터뷰에서 “민주당의 정치적 초점은 힐러리로 옮겨갈 것”이라면서 “어떤 의미에서는 이미 그런 분위기가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면서 민주당 내부에서 차기 지도자로의 조기 권력이양이 나타날 수 있고, 그 주인공은 클린턴 전 장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내년 말 중간선거에 출마하는 민주당 의원들은 오바마 대통령보다 대중적 인기가 높은 클린턴 전 장관에게 지지 유세를 요청하면서 지지 의사를 적극적으로 밝히고 있다.

민주당 하원선거위원회(DCCC) 회장인 스티브 이스라엘(뉴욕) 의원은 “거의 모든 의원이 클린턴 전 장관에게 지지 유세 요청을 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클린턴 전 장관이 아직 대권 도전의사를 공식화하지도 않은 상태에서 지지 열기가 뜨거워지는 데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내놓고 있다.

지난 2008년 대통령선거 당시 클린턴 캠프에서 일했던 필 싱어는 “선거운동은 아직 먼 일”이라면서 “빨리 부풀어 오른 거품은 빨리 터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김규남 서울시의원, ‘에너지전략 특별위원회’ 구성결의안 대표발의

서울시의회가 급변하는 국내외 에너지·환경 여건 변화에 대응하고, 서울시 에너지 정책의 장기적 비전과 실행 전략을 마련하기 위해 ‘에너지전략특별위원회’(이하 특위) 구성을 추진한다. 김규남 서울시의원(국민의힘, 송파1)이 12일 ‘서울시의회 에너지전략특별위원회 구성 결의안’을 대표 발의했다고 밝혔다. 이번 특위 구성 결의안은 급성장하는 전력 수요에 대응하고, 에너지 산업을 서울의 미래 성장동력으로 키우기 위한 종합 전략 마련을 위해 발의됐으며 27명의 의원이 공동 발의자로 참여했다. 현재 서울시는 에너지의 90% 이상을 외부에 의존하고 있으며, 전기차·데이터센터·AI 산업 확대로 전력 수요가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도심 밀집 구조 속에서 전력기반 시설이 노후화되어 안전성과 효율성 확보가 시급한 상황이다. 또한 32년 만에 산업통상자원부의 에너지 기능을 분리해 ‘기후에너지부’ 또는 ‘기후에너지환경부’의 신설을 추진하는 중앙정부 개편에 발맞춰, 지방정부 차원에서도 에너지 정책을 종합적으로 점검하고 중·장기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이에 김 의원은 “AI산업 확대와 데이터센터 증가로 전력 수요가 급증하는 상황에서, 안정적 전력 공급
thumbnail - 김규남 서울시의원, ‘에너지전략 특별위원회’ 구성결의안 대표발의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