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상원 ‘시리아 공격시 지상군 제외’ 결의안 마련

美 상원 ‘시리아 공격시 지상군 제외’ 결의안 마련

입력 2013-09-04 00:00
수정 2013-09-04 10:5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시리아 공격을 승인해 달라고 요청하자 미국 상원이 공격 기간과 규모를 제한하는 새 결의안을 마련했다.

상원 외교위원회의 로버트 메넨데스(민주·뉴저지) 위원장과 밥 코커(테네시) 공화당 간사는 3일(현지시간) 밤 이 같은 결의안에 합의했으며 외교위는 4일 표결할 예정이다.

새 결의안이 외교위를 통과하면 9일 상원 전체 회의 표결에 부쳐지게 된다.

결의안에 따르면 전투 작전을 위한 지상군 파견은 금지된다.

또 공격 기간은 60일로 한정되며 대통령이 의회의 승인을 얻어 30일 더 연장할 수 있도록 해 최장 90일로 정했다.

코커 간사는 “양당 협상 결과, 대시리아 군사 조치의 기간과 범위를 제한해 군사력이 적절하게 제공될 수 있도록 했다”며 “오바마 정부가 더 폭넓은 계획을 제출해주기를 요청하고 국민을 향한 설명도 더 적극적으로 하기 바란다”고 말했다.

앞서 존 케리 국무장관은 상원 외교위 청문회에 나와 지상군 투입을 금지하지 않는 것이 낫다는 의견을 피력했다가 비판을 받자 입장을 선회, 지상군 파병 금지에 찬성했다.

케리 장관은 애초 “시리아가 안으로부터 붕괴하거나 극단주의자들이 화학무기를 획득할 위험이 있을 때 오바마 대통령의 선택권을 남겨두기 위해 지상군 투입을 금지하지 않는 것이 낫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코커 간사의 비판을 받자 그는 가정적 상황을 상정해 생각나는 대로 말했을 뿐이라며 지상군 파병 가능성을 남겨두지 않는데 동의했다.

연합뉴스

김경 서울시의원, 서울시 온라인 홍보 3대 지표 성과 격려… “새로운 공공소통 모델 될 것”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김경 의원은 지난 4일 제333회 정례회 홍보기획관 대상 행정사무감사에서 서울시가 운영하는 온라인 홍보 채널의 최근 성과를 집중적으로 점검하며 “짧은 기간 안에 상당히 큰 성과를 달성했다”며 “서울시 공공소통의 새로운 기준을 만들고 있다”고 평가했다. 김 의원은 먼저 서울시 유튜브 채널 성과를 언급하며 “조회수가 86% 증가해 연간 840만명이 시정 콘텐츠를 시청했고, 구독자 수는 26만명에 달한다”고 질의했다. 이어 “주 20회 이상 자체 콘텐츠를 제작·발행해 양적 확대가 뚜렷하다”며 “단순한 예산투입형이 아니라 자체 제작 콘텐츠의 질을 기반으로 달성한 성장”이라고 높게 평가했다. 김 의원은 “이 정도 수준의 성과라면 단지 시정 홍보를 넘어 공공 소통 모델로서 타 지자체 또는 정부부처와 공유할 가치가 충분하다”고 강조하며, 다른 지자체와의 협업 계획 여부를 질의했다. 이에 홍보기획관은 “필요하다면 언제든 협력 가능하다”고 답했다. 인스타그램 성과에 대해서도 김 의원은 상세히 점검했다. 김 의원은 “서울시 인스타그램 팔로워가 50만명(※ 실제 현행 약 54.2만명)으로, 2위 부산시의 약 19.7만명과 큰 격차를 보인다”며 “
thumbnail - 김경 서울시의원, 서울시 온라인 홍보 3대 지표 성과 격려… “새로운 공공소통 모델 될 것”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