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의사당 추격전 사망 여성 ‘산후 우울증’

美의사당 추격전 사망 여성 ‘산후 우울증’

입력 2013-10-05 00:00
수정 2013-10-05 04:3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망상장애로 입원 경력…”경찰 과잉대응” 비난도

미국 워싱턴DC의 연방의회 의사당 인근에서 차량 추격전을 벌이다 경찰이 쏜 총에 맞아 숨진 여성은 심각한 산후 우울증을 앓고 있던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신이 버락 오바마 대통령과 직접 연락을 주고받았다고 믿는 등 망상장애 증상도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숨진 여성인 미리엄 캐리(34)의 모친은 4일(현지시간) ABC방송과의 인터뷰에서 “미리엄은 지난해 8월 딸 에리카를 낳은 뒤 산후 우울증을 앓았다”면서 “출산 몇달후에 침울해져서 입원했다”고 말했다.

그는 치위생사로 일했던 미리엄이 폭력 전과는 전혀 없었으며, 전날 워싱턴DC에 갔다는 사실도 몰랐다고 설명했다.

미리엄이 살던 코네티컷주(州) 스탬포드 외곽 동네의 한 주민은 “미리엄은 최근 들어 아주 이상하게 행동했다”면서 “괜찮은 것처럼 보였다가도 갑자기 말도 안 되는 언행을 보였다”고 증언했다.

그는 특히 “미리엄은 주차장에서 종종 속도를 내서 차를 운전해서 아주 걱정스러웠다”고 덧붙였다.

현지 언론은 익명을 요구한 수사 당국자들을 인용, “미리엄은 오바마 대통령이 과거에 자신에게 직접 연락을 했으며, 심지어는 자신을 스토킹하는 것으로 믿은 것으로 전해졌다”고 보도했다.

한편 경찰이 전날 차량 추격전을 벌인 끝에 미리엄에게 여러 발의 총을 쏜 것에 대해 비난 여론도 일고 있다.

소셜네트워킹서비스(SNS)에는 미리엄을 위한 추모 코너가 만들어졌으며, 당시 차량에 한 살짜리 아이가 타고 있었는데도 경찰이 ‘무차별적으로’ 총을 쏜 것은 부적절했다는 성토가 이어졌다.

한 네티즌은 “미리엄의 가족이 의회 경찰을 고소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면서 “왜 경찰은 차량의 타이어를 쏴서 정지시키지 못했느냐. 도대체 이해가 안 된다”고 지적했다.

미리엄은 전날 오후 백악관 인근에서 검은색 인피니티 승용차를 몰고 경찰 검문을 피해 전속력으로 의사당 쪽으로 달아났으며, 추격전을 벌인 끝에 경찰이 쏜 총에 맞아 목숨을 잃었다.

함께 차량에 타고 있던 딸로 추정되는 한 살짜리 여자 아이는 무사했으며, 추격전 과정에서 비밀경호국(SS) 요원과 의회 경찰 등 2명이 부상한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뉴스

문성호 서울시의원 “연희동 견고한 폭우 방어 태세, 연희1구역재개발조합이 주민 안전 보장 확실한 기여”

문성호 서울시의원(국민의힘, 서대문2)이 2년 전 폭우로 축대가 붕괴하는 사고가 발생했던 연희동 주민들이 이번 폭우로 지반 붕괴 등을 우려하는 민원을 전함에 있어, 직접 순찰한 결과 현재 문제는 전혀 발생하지 않았으며 특히 경사가 가파른 지역인 홍제천로2길 일대의 안전을 위해 연희동 연희1구역재개발조합에서 방벽 공사 및 기반 시설 보강으로 견고한 대비가 구축되었음을 전했다. 문 의원은 “2년 전 여름, 폭우가 쏟아지는 중에 연희동에서는 축대가 무너지는 심각한 사고가 발생한 바 있다. 다행히 매몰되거나 사고를 입은 주민은 없었으나, 인근 주민들이 대피하는 등 삶에 충격을 가했다. 그러한 사고가 있었기 때문인지 폭우경보가 있는 날이면 연희동 해당 일대 주민들의 우려가 늘 들려온다”고 설명했다. 이어서 문 의원은 “특히 연희동 홍제천로2길 일대는 경사가 가파른 탓에 폭우가 쏟아지는 날에는 물줄기 역시 빠르고 강한 힘으로 쏟아져 내려오기에 매우 위험함은 모두가 익히 아는 사실이다. 하지만 본 의원이 직접 야간에 현장을 순찰한 결과, 다행히도 미리 구축된 방벽과 벙커형 주차장의 견고하고 또 체계화된 물 빠짐 구간 구축으로 아무런 피해가 발생하지 않았다”며 설명을
thumbnail - 문성호 서울시의원 “연희동 견고한 폭우 방어 태세, 연희1구역재개발조합이 주민 안전 보장 확실한 기여”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