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쇼가 ‘돈 먹는 하마’가 되면 곤란하죠. 흔히 리얼리티 프로그램은 제작비가 저렴하다고 여기지만 이 프로그램은 예외입니다. 코카콜라, AT&T 등 음료·통신업계의 초대형 광고주가 떠나면서 사정이 돌변했어요.”(폭스TV의 ‘아메리칸 아이돌’ 제작진)
이미지 확대
아메리칸 아이돌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아메리칸 아이돌
① 시청률에 밀리고- 예년의 절반 수준으로 급감
미국 오디션 프로그램의 대명사이자 신인 가수 등용문인 ‘아메리칸 아이돌’이 내년 봄 15번째 시즌을 끝으로 폐지된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시청자들의 의문이 꼬리를 물고 있다. 시청률 최하위로 고전하던 폭스에 시청률 1위라는 ‘황금 선물’을 안겨 준 프로그램이기 때문이다. TV 프로그램 사상 가장 영향력 있는 쇼라는 찬사를 받았기에 의문은 증폭된다.
아메리칸 아이돌의 갑작스러운 폐지 배경에 대해 CNN 등 외신들은 12일(현지시간) 심층 분석기사를 내놨다. 현재 14번째 시즌 결승전을 진행 중인 이 프로그램은 2002년 영국의 TV쇼 ‘팝 아이돌’을 벤치마킹해 탄생했다. 첫 시즌 우승자 켈리 클라크슨을 필두로 시즌4 챔피언 케리 언더우드 등이 아메리칸뮤직어워드, 그래미상을 거의 휩쓸어 왔다.
② 노인층으로 밀리고- 18~47세 시청률 고작 1.4%
CNN은 프로그램의 폐지 이유를 미디어 환경의 급변과 경제적 문제로 압축했다. 아메리칸 아이돌은 지난 시즌 주간 시청자(생방송과 일주일간 재방송 시청자) 수가 1030만명으로 예년의 절반 수준으로 급감했다. 올해에는 910만명에 머물고 있다. 2006년 시즌5의 주간 시청자가 3100만명을 웃돌던 것과 비교하면 격세지감이다.
시청자층도 바뀌었다. 젊은 층이 열광했으나 이제 할머니·할아버지가 즐겨 보는 프로그램으로 전락했다. 18~47세의 시청률은 올 시즌 평균 2.9%, 지난주에는 1.4%까지 떨어졌다. 전성기 때의 10%와 비교하면 수직 하락이다. 데이비드 비앙컬리 미국 로언대 교수는 “심사위원의 잦은 교체와 대형 스타의 고갈, 독창성 저하 등이 쇼를 죽음으로 내몰았다”고 진단했다.
③ 후발주자에 밀리고-더보이스 등에 신인 뺏겨
게다가 후발 주자인 미 NBC의 ‘더 보이스’, ‘아메리카스 갓 탤런트’가 인기를 얻으며 시청률을 나눠 갖고, 온라인 미디어인 유튜브가 신인 가수 등용문의 지위를 앗아 가면서 지난해 대형 광고주들이 잇따라 떠났다. 이는 재정 압박으로 이어졌다.
④ 광고주에 밀리고-코카콜라 떠나 제작비 허덕
월스트리트저널은 매회 천문학적 비용을 들여 3시간 가까이 생방송하는 이 프로그램은 광고 의존도가 거의 절대적이라고 보도했다. 제작진이 제작비를 공개하지 않은 가운데 아메리칸 아이돌은 2008년 8억 4200만 달러(약 9249억원)에서 지난해 4억 2800만 달러(약 4701억원)로 연간 광고 수입이 급락했다. 반면 투어비용과 심사위원비는 상상을 초월한다. 가수 제니퍼 로페즈와 머라이어 캐리 등 대형 스타들은 매년 각각 1800만 달러(약 197억원) 안팎의 심사위원비를 챙기는 것으로 알려졌다. 제작진은 이 같은 이유로 난상토론을 벌여 프로그램 축소가 아닌 폐지를 결정했다.
오상도 기자 sdoh@seoul.co.kr
2015-05-14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