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대선 맞대결’ 힐러리 우세…트럼프 10%p 오르면 판세 역전

‘美대선 맞대결’ 힐러리 우세…트럼프 10%p 오르면 판세 역전

입력 2016-05-06 07:21
수정 2016-05-06 07:2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뉴욕타임스, 현 여론조사 토대로 주별 예상 선거인단 심층분석

힐러리 347 vs 트럼프 191…트럼프 지지율 10%p 올라야 233대 305로 역전

‘첫 여성 대통령 힐러리냐, 억만장자 대통령 트럼프냐.’

미국 대선 본선이 민주당의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과 공화당의 도널드 트럼프 간 양자대결로 사실상 확정되면서 과연 누가 다음 백악관의 주인이 될지에 미국뿐 아니라 전 세계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미국 CNN 방송과 뉴욕타임스(NYT) 등 미 언론은 두 사람의 대결구도가 확정되자마자 일제히 여론조사 결과와 더불어 본선 전망을 내놓고 있다.

두 사람의 본선 맞대결 구도 확정 후 실시된 최근 두 차례 여론조사 결과는 엇갈렸다.

미 여론조사기관 라스무센의 전화 여론조사(4월27∼28일·1천 명)에서는 트럼프가 41%를 기록해 39%를 얻은 클린턴 전 장관을 앞섰지만, CNN 방송과 ORC의 유무선 여론조사(4월28일∼5월1일·1천1명)에선 54%대 41%로 클린턴 전 장관이 트럼프에 무려 13%포인트 앞섰다.

여기에다 주별 여론 흐름까지 합치면 전반적으로 클린턴 전 장관의 우세가 예상된다.

인구분포도 역시 클린턴 전 장관에게 유리한 측면이 크다. 트럼프가 멕시코 이민자들을 범죄자로 취급하는 등 각종 분열적 발언을 쏟아내면서 소수계 인종은 트럼프보다는 클린턴 전 장관을 지지하는 경향이 짙다.

이런 상황에서 트럼프의 지지기반인 백인 인구 비중이 줄어들고 클린턴 전 장관의 지지층이라 할 수 있는 히스패닉과 아시아계 인구 비중은 늘어난 상태인 데다가, 특히 올해 대선에서는 흑인을 제치고 2위로 부상한 히스패닉계가 캐스팅보트를 쥘 공산이 크다.

2014년 기준으로 미국 인구는 총 3억1천874만 명이며 이 중 백인 62.2%(1억9천810만 명), 히스패닉 17.4%(5천541만 명), 흑인 13.2%(4천203만 명), 아시아계 5.4%(1천708만명)의 분포를 보이고 있다.

더욱이 트럼프는 ‘집토끼’라고 할 수 있는 백인 유권자층에서도 4년 전 공화당 대선 후보 밋 롬니 전 매사추세츠 주지사가 확보했던 만큼의 지지율을 얻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이러한 불리한 조건에도 트럼프의 선전 여하에 따라 판세가 급격히 요동칠 가능성이 커 현재로서는 대선 결과를 장담하기 어렵다는 게 미 언론의 공통된 분석이다.

이와 관련해 뉴욕타임스(NYT)는 4일(현지시간) 이 같은 종합적인 여론조사 결과를 토대로 주별 선거인단 확보 상황을 미리 전망한 기사를 실었다.

NYT 분석 결과 오늘 당장 대선을 치른다면 대통령 선거인단 538명 가운데 클린턴 전 장관이 당선 기준인 과반(270명)을 훌쩍 넘긴 347명을 확보해 191명에 그친 트럼프를 쉽게 꺾는 것으로 나왔다.

그러나 트럼프가 각 주에서 지지율을 평균 5%포인트만 끌어올리면 선거인단 격차는 285대 253으로 좁혀진다. 만약 트럼프의 지지율이 지금보다 10%포인트 더 오른다면 233대 305로 역전되면서 트럼프가 승리하게 된다.

이는 어디까지나 하나의 예상 가능한 시나리오이긴 하지만, 지난해 6월 대선 출마 선언 당시 지지율 1%에 불과했던 트럼프가 당내 기라성 같은 주자들을 꺾고 대선후보 자리를 꿰찬 점을 감안하면 결코 불가능한 얘기도 아니라는 얘기도 나온다.

NYT는 “불리한 상태에서 출발하는 트럼프는 힘든 싸움을 벌일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다만 클린턴 전 장관의 인기 또한 떨어져 있어 트럼프의 추월이 불가능한 것도 아니다”고 전망했다.

트럼프가 클린턴 전 장관을 꺾으려면 여러 난제를 극복해야 한다.

인종, 종교, 여성차별 등 각종 분열적 발언 탓에 66%(CNN 조사)까지 치솟은 자신에 대한 비호감도를 어떻게 낮추느냐, 또 어떻게 당내 결속을 이뤄내고 백인 유권자층을 하나로 묶느냐 하는 것 등이 대표적이다.

현재 당 주류에선 여전히 트럼프에 거부감을 보이고 있다. 공화당의 한 축이라고 할 수 있는 조지 H.W. 부시(아버지 부시), 조지 W. 부시(아들 부시) 전 대통령 부자까지 지지 선언을 하지 않겠다고 밝힌 상태다.

트럼프가 당 단합을 이뤄내는 동시에 클린턴 전 장관에 비우호적인 민주당 버니 샌더스(버몬트) 상원의원의 지지자, 특히 백인 유권자들을 끌어오겠다고 장담하고 있지만, 어느 정도나 성사될지는 미지수다.

한편, 두 주자는 오는 7월 말 양당 전당대회에서 공식 후보로 각각 선출된 뒤 본격적으로 본선 경쟁에 들어가게 된다. 11월 8일 대선에 앞서 두 후보 간 TV토론은 9월 26일 오하이오 주(州) 데이튼, 10월 9일 미주리 주 세인트루이스, 10월 19일 네바다 라스베이거스에서 총 3차례 열린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