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드차 생산라인 멕시코 이전 불변…무색해진 트럼프식 일자리 살리기

포드차 생산라인 멕시코 이전 불변…무색해진 트럼프식 일자리 살리기

박기석 기자
박기석 기자
입력 2016-11-16 23:14
수정 2016-11-17 01:4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트럼프 징벌 관세 부과 예고에도 CEO “라인 옮겨 소형차 등 생산, 북미 3개국 생산체인 깊이 통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자의 주요 공약인 보호무역주의 정책에 대해 포드자동차의 최고경영자(CEO)가 반기를 들었다. 트럼프는 높은 관세 부과와 자유무역협정 폐기로 해외로 나간 미국 대기업을 다시 불러들이겠다고 공약했지만, 포드의 마크 필즈 CEO는 15일(현지시간) 자사 생산라인의 멕시코 이전을 변함없이 추진하겠다고 맞섰다.

필즈는 이날 로스앤젤레스에서 개막한 LA 오토쇼에서 “포드는 소형차 포커스와 하이브리드차 C맥스의 생산 공장을 미시간주 웨인에서 멕시코로 옮기는 계획을 계속 진행할 것”이라고 말한 것으로 로이터 등이 보도했다. 포드는 지난 9월 멕시코의 저임금을 활용해 수익을 개선하고자 소형차 생산라인을 멕시코로 이전한다고 발표했다.

2018년부터 멕시코 공장에서 소형차 생산을 시작하며 웨인 공장에서는 미국에서 인기가 높은 소형 트럭을 생산한다는 계획이다.

포드는 “생산라인 이전으로 인해 미시간주에서 일자리가 감소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트럼프는 포드의 이전 계획 발표 당시 “포드는 멕시코 사람을 고용해 차를 만든 뒤 국경을 통해 미국에 가져와 관세 없이 판매하려 한다”며 “이는 끔찍한 일”이라고 직격탄을 날렸다. 트럼프는 포드가 생산라인을 이전하면 포드의 멕시코산 자동차에 35%의 징벌적 관세를 물릴 것이며 공장 이전을 조장하는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을 폐기할 것이라고 공언했다.

이에 대해 필즈는 “35%의 관세 부과는 미국 전체 산업과 경제에 해가 될 것”이라며 “포드는 자유롭고 공정한 무역을 지지한다”고 밝혔다. 그는 또 “(NAFTA 협정국인) 미국, 캐나다, 멕시코의 생산·공급 체인이 깊이 통합돼 있다”며 “이런 통합은 미국의 일자리를 지탱해 준다”고 강조했다. 미국 대기업의 CEO가 트럼프 당선 이후 공개적으로 트럼프의 공약과 관련해 부정적 견해를 밝힌 것은 처음이다.

필즈는 그러면서도 “트럼프 당선자나 자동차업계 모두 건강하고 활기찬 미국 경제라는 같은 목표를 공유하고 있어 올바른 정책이 나올 것이라고 확신한다”며 “트럼프의 정권인수팀과 계속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기석 기자 kisukpark@seoul.co.kr
2016-11-17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