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스트로 사후 쿠바는 어디로
10년 전 권좌에서 물러났지만 막후에서 영향력을 행사했던 피델 카스트로 전 쿠바 국가평의회 의장이 지난 25일(현지시간) 타계하면서 동생 라울 카스트로(85) 의장이 추진 중인 개혁에 가속도가 붙을 전망이다.피델은 2006년 건강이 악화되자 동생 라울에게 권력을 이양하기 시작했으며, 2008년 의장직을 넘겨주면서 공직에서 완전히 물러났다. 그러나 이후 10년간 라울이 추진하는 개혁·개방 정책에 제동을 걸어왔다고 이코노미스트는 지적했다. 피델은 중국과 베트남식의 시장경제 사회주의를 도입하는 데 반대했으며, 미국과의 관계 정상화에 대해서도 공개적으로 반감을 드러냈다. 특히 그는 지난 4월 쿠바공산당 7차 전당대회에서 주요 경제개혁 정책이 발표되는 것을 저지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전했다.
이런 연유로 라울은 형 피델의 타계 이후 진정한 개혁·개방을 추진할 수 있게 됐다. 쿠바의 은퇴한 교회사가 엔리케 로페스 올리바는 “(피델의 사망으로) 라울은 더 큰 자유를 느낄 것”이라며 “변화의 과정은 의심할 여지없이 가속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게다가 쿠바의 경제적 지원자였던 베네수엘라가 경제 붕괴 상태에 빠지면서 라울의 개혁 노선에 더욱 힘이 실릴 것으로 보인다고 이코노미스트는 보도했다.
하지만 그의 개방 정책의 핵심인 미국과의 관계 정상화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 이후 불확실성이 높아진 모양새다. 트럼프는 지난 9월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행정명령을 통해 카스트로 정권에 부여한 모든 양보를 차기 대통령이 철회할 수 있다”면서 “카스트로 정권이 미국의 요구에 부응하지 않을 경우 양보를 거둬들일 것”이라며 쿠바와의 관계 정상화에 대해 재협상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이에 오바마는 자신의 업적 중 하나인 쿠바와의 관계 정상화를 지속시키기 위해 남은 임기 두 달간 정상화 조치에 박차를 가할 것으로 보인다고 NYT는 전했다.
박기석 기자 kisukpark@seoul.co.kr
2016-11-28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