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캐나다 정상회담
트럼프 “무역은 상호간 호혜적나프타 무역 조건 약간 고쳐야”
트뤼도 “하루 20억 달러 교역
캐나다는 美의 최대 수출시장”
미국과 캐나다 정상이 만났지만 서로 견해 차이만 확인한 채 결국 빈손으로 헤어졌다. 두 정상은 서로 다른 정치적 견해 등을 비판하지 않았지만 북미자유무역협정(나프타·NAFTA) 등 경제 현안에는 서로 입장 차를 좁히지 못했다.

워싱턴DC AF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왼쪽) 미국 대통령이 13일(현지시간) 워싱턴DC 백악관에서 미·캐나다 정상회담을 갖기에 앞서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를 반갑게 맞이하고 있다. 두 정상은 회담에서 북미자유무역협정(나프타·NAFTA)과 이민정책에 대해 이견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워싱턴DC AFP 연합뉴스
워싱턴DC AFP 연합뉴스
이에 트뤼도 총리는 “우리는 난민을 계속해 받아들일 것임을 약속한다”고 말해 트럼프 대통령의 이민정책에 동의하지 않는다는 점을 분명히 밝혔다. 그는 그러나 “캐나다 국민은 내가 다른 나라 사람이 자신의 나라를 어떻게 다스려야 하는지에 대해 ‘강의’하는 것을 바라지 않는다”고 말해 직설적인 맞대응을 피했다.
양국 정상은 미국과 캐나다의 경제 협력과 동반자적 관계는 인정했지만 나프타 등 각론에서는 차이를 드러냈다. 트럼프 대통령은 기자회견에서 “우리는 캐나다와 아주 뛰어난 무역 관계를 갖고 있다”며 회담에 적잖은 만족감을 나타냈다.
하지만 그는 “무역은 상호 간에 호혜적이어야 한다. 무역 조건을 약간 고쳐야 한다”면서 이미 공언한 대로 나프타 재협상 방침을 밝혔다. 그러면서도 트럼프 대통령은 “(캐나다와의 무역관계는) 남쪽 국경에 있는 나라(멕시코)보다는 훨씬 덜 심각하다”고 덧붙였다.
이에 트뤼도 총리는 “미국의 35개 주에게 캐나다는 최대 수출시장이며 하루 20억 달러의 교역으로 우리는 (서로) 이익을 얻고 있다”면서 나프타가 양국에 도움이 되고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그러면서 그는 “어쨌거나 캐나다와 미국은 언제나 서로에게 가장 필요한 파트너로 지내왔다”고 말해 두 정상 간에 이견이 크게 드러나지 않도록 배려했다.
트럼프 대통령과 트뤼도 총리는 많은 부분에서 서로 다르다. 45세로 젊고 준수한 외모의 트뤼도 총리는 외신 기자에게 ‘훈남 총리’로 불린다. 70세 트럼프는 마초 성향이 강한 가부장적 지도자라는 평가가 많다. 또 트뤼도 총리는 자유 무역과 난민 포용 추진에 앞장서고 있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자유무역협정 재검토를 통한 보호무역 확대, 난민 수용 중단 등을 임기 초반부터 밀어붙이고 있다.
한준규 기자 hihi@seoul.co.kr
2017-02-15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