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바마 후폭풍 우려해 줄곧 반대
트럼프 시리아전 종전 대책 주문중동정세 큰 지형변화 일어날 듯
미국이 이슬람 수니파 급진단체 이슬람국가(IS)를 격퇴하기 위해 시리아에 미 지상군 전투병력을 파병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지역에 대한 지상군 파병은 버락 오바마 전 행정부가 줄곧 반대해 온 것으로, 현실화된다면 미국 내부와 중동 정세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전망된다.
미 국방부는 IS와의 전쟁을 신속하게 마무리하기 위해 몇 가지 옵션(방안)을 강구하고 있으며 그 옵션 중 하나로 이 같은 파병을 검토하고 있다고 CNN이 1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파병안은 아직 백악관에는 제출되지 않은 상태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제임스 매티스 국방장관에게 “시리아 전쟁을 조기에 끝낼 수 있는 대책을 이달 말까지 마련해 보라”고 주문한 이후 나온 것이다.
미 국방부의 한 관리는 “일정 기간 동안 미국의 전통적인 지상군 병력이 시리아에 파견될 수도 있을 것”이라면서도 “다만 이 같은 결정은 어디까지나 트럼프 대통령에게 달려 있다”고 설명했다. 미국은 현재 주로 특수전 병력으로 구성된 소규모 부대를 시리아에 투입, IS 격퇴전을 벌이는 반군 단체들에 대한 훈련과 지원을 담당하고 있다.
CNN은 파병안이 백악관의 승인을 거쳐 수주일 내 미 지상군이 시리아에 실제 투입될 경우 미군의 시리아 작전에 중대 변화가 올 수 있다고 전망했다. 지상군 파견은 반군이나 쿠르드계 민병대 등 현지 군에 의존하고 있는 미국의 IS 격퇴전 양상을 크게 바꿔 놓을 수 있다는 얘기다. 파병 결정이 내려지면 일부 병력을 먼저 쿠웨이트에 배치했다가 시리아로 이동시킬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지상군 전투 병력을 다른 나라에 파병하는 데에는 많은 수의 병력뿐만 아니라 지상과 공중 양쪽에서의 보안이 필요해 주의가 필요하다.
오바마 전 행정부는 시리아에 대한 파병이 수반하는 위험 때문에 지상군의 시리아 투입을 반대했었다. 시리아 파병 계획이 최종 승인된다면 그 같은 위험도 감수하겠다는 트럼프 정부의 의지를 반영하는 것인 만큼 근본적인 입장 변화를 시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시리아와 이라크에 배치된 미군은 현재 6000명 이상이며 영국군 특수부대 및 정규군의 지원을 받고 있다고 영국 일간 미러가 전했다.
김규환 선임기자 khkim@seoul.co.kr
2017-02-17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