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뜬금없이 ‘어젯밤 스웨덴테러’ 시사…스웨덴 “황당하네”

트럼프, 뜬금없이 ‘어젯밤 스웨덴테러’ 시사…스웨덴 “황당하네”

입력 2017-02-20 09:52
수정 2017-02-20 09:5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스웨덴 정부 ‘테러 가능성 일축’…빌트 전 총리 “트럼프 약 먹었냐?”논란 커지자 트럼프 트윗 해명 “폭스뉴스 방송과 관련된 발언이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8일(현지시간) 플로리다 주(州) 멜버른에서 열린 지지자 집회 연설에서 전날 밤 스웨덴에서 테러 사건이 발생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는 발언을 해 주위를 어리둥절케 했다고 미국 언론이 19일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연설 도중 중동 난민 수용 정책을 비판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지켜야 할 선이 있다. 우리나라를 안전하게 지켜야 한다”면서 “독일에서 일어난 일들을 보라. 어젯밤 스웨덴에서 일어난 일을 보라”고 말했다.

이어 “누가 믿겠느냐? 이런 일이 스웨덴에서 일어났다고”라면서 “그들은 많은 사람(난민)들을 받아들였다. (그래서) 그들은 그동안 전혀 가능할 것으로 생각하지 못했던 것과 같은 문제들을 안고 있다”고 주장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브뤼셀에서, 전 세계에서 일어난 일들을 봐라. 니스 사건을 보고 파리 사건을 보라”면서 “수많은 사람을 우리나라에 받아들였는데 그들을 제대로 조사할 방법이 없다. 그들은 제대로 된 서류도 없다”고 말했다.

유럽 각국에서 발생한 난민 연루 테러를 거론하면서 미국과 유럽의 난민 수용 정책을 비판한 것이다.

문제는 트럼프 대통령이 구체적 내용이나 증거를 제시하지 않은 채 ‘어젯밤 스웨덴에서 일어난 일’이라고 언급한 대목이다. 최근 테러가 발생한 나라들과 스웨덴을 같은 반열에 놓으면서 이런 말을 한 것은 간밤에 스웨덴에서 테러 공격이 일어났다는 뉘앙스로 비칠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이 발언이 알려지자 주미 스웨덴 대사관이 미국 국무부에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이 어떤 맥락에서 나온 것인지, 구체적으로 어떤 내용인지를 공식으로 질의했다고 미 의회전문지 더힐은 전했다.

스웨덴 외교부의 카타리나 악셀손 대변인도 AP통신에 “스웨덴 정부는 테러와 관련된 어떤 중대한 사건도 알지 못한다”고 일축했다. 그는 명확한 사실 확인을 위해 미 국무부를 접촉 중이라고 전했다.

스웨덴 경찰도 “테러 위협을 상향 조정할 만한 어떤 일도 발생하지 않았다”고 확인했다.

특히 칼 빌트 전 스웨덴 총리는 트럼프 대통령이 제정신이 아니라는 취지로 직격탄을 날렸다.

빌트 전 총리는 트위터에서 “스웨덴? 테러 공격? 트럼프 대통령이 무슨 약을 한 거냐(what has he been smoking)? 의문점이 많다”고 일갈했다.

이처럼 논란이 커지자 트럼프 대통령은 트위터를 통해 “스웨덴에서 일어난 일에 대한 내 발언은 ‘이민자와 스웨덴’을 주제로 폭스뉴스에서 방송한 한 기사와 관련된 것이었다”고 해명했다.

당시 폭스뉴스에는 이민자 때문에 스웨덴에 범죄가 늘었다는 한 영화감독의 주장이 나왔다.

미국 언론은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을 우회적으로 비판했다.

ABC 방송의 시사프로그램 ‘디스 위크’ 진행자인 조너슨 칼은 이날 공화당의 랜드 폴(켄터키) 상원의원을 상대로 “트럼프 대통령이 도대체 무슨 얘기를 하려는 것인지 아느냐”고 물었고, 이에 폴 의원은 구체적인 답변을 삼간 채 “일부 언쟁이 있었던 것으로 안다. 1년 전 새해 전날 난민이 관련된 몇 가지 일이 있었는데 그게 스웨덴에서 일어났던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그러자 칼은 다시 “트럼프 대통령이 어제 유세에서 한 발언에 관해 묻는 것”이라며 스웨덴 전직 총리까지 나서 문제를 제기했다고 재차 지적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있지도 않은 ‘스웨덴 테러’ 시사 발언 이후 인터넷 상에서는 관련 패러디가 넘쳐났다.

각종 SNS(사회관계망서비스)에서는 ‘#스웨덴의 어젯밤(#LastNightinSweden)’, ‘#스웨덴 사건(SwedenIncident)’와 같은 해시태그를 달아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을 풍자하거나 조롱하는 게시물이 잇달아 게재됐다.

스웨덴 정부 공식 트위터 계정에도 테러 기도가 전혀 없었다는 취지의 트윗이 빗발쳤다.

더힐은 앞서 켈리엔 콘웨이 백악관 선임고문도 실제 일어나지도 않은 ‘볼링그린 테러’를 주장하며 트럼프 대통령의 ‘반(反)이민 행정명령’을 옹호했다고 비판받은 바 있다고 전했다.

콘웨이 고문은 이달 초 MSNBC 방송 인터뷰에서 “이라크 난민 2명이 ‘볼링그린 대참사’를 주도했는데 (언론이) 보도하지 않았기 때문에 대부분 사람은 모른다”고 주장한 바 있다.

미 언론은 확인 결과 볼링그린 테러는 전혀 일어난 적이 없다면서 콘웨이 고문의 언급은 켄터키 주(州) 볼링그린에 살던 이라크인 2명이 2011년 5월 이라크 내 알카에다의 테러 지원을 위해 무기와 자금전달 등을 공모하다가 체포돼 중형은 선고받은 사건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이다고 전했다. 이후 콘웨이 고문도 자신의 ‘말실수’를 인정했다.

김영철 서울시의원 “성내초 증축·동북중·고 교육여건 개선 시급”

서울시의회 주택공간위원회 김영철 의원(국민의힘, 강동5)은 지난 18일 개최된 서울시교육청-국민의힘 정책협의회에서 AIDT(교육자료) 전환 대책, 노후 교사동 안전관리, 학교업무 경감 방안과 함께 성내초등학교 증축 및 환경개선, 동북중·동북고 교육여건 개선 등 지역 현안을 중점적으로 다뤘다. AIDT 전환, 학생 학습권 보호가 최우선 김 의원은 초·중등교육법 개정으로 AIDT의 법적 지위가 ‘교과서’에서 ‘교육자료’로 전환된 상황과 관련해 “학교 현장에서 혼란이 발생하지 않도록 신속한 후속 조치와 재정 지원이 필요하다”며 “특히 학생 학습권이 흔들리지 않도록 교육청이 적극적으로 역할을 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노후 교사동 안전, 사전 예방 관리체계 강화해야 이어 김 의원은 노후 교사동 안전관리 종합대책과 관련해 “이미 서울의 35%가 40년 이상 노후 건축물인데, 학생 안전은 결코 미룰 수 없는 과제”라며 “C등급을 세분화하고 IoT 기반 실시간 감시체계를 도입하는 등 선제적 관리로 개학 연기 같은 사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성내초 증축·급식환경 개선, 학생 건강권 보장해야 특히 김 의원은 강동구 성내초등학교 증축안과
thumbnail - 김영철 서울시의원 “성내초 증축·동북중·고 교육여건 개선 시급”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