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YT ‘1619 프로젝트’ 보도 참여한 존스 “英 벗어난 1776년 아냐” 주장 퓰리처상 UNC, 정교수→5년 계약 처우 번복 논란
이미지 확대
니콜 해나 존스. AP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니콜 해나 존스. AP 연합뉴스
미국 독립기념일은 흑인 노예가 미국 땅에 첫발을 디딘 1619년이라고 주장하며 역사전쟁의 중심에 선 니콜 해나 존스(45)에 대해 보수 성향의 노스캐롤라이나주립대(UNC) 이사회가 교수 임용 처우를 번복하면서 논란이 불거졌다.
폭스뉴스는 19일(현지시간) “지난달 말 UNC는 존스에게 테뉴어(임기 보장 정교수) 교수직을 줄 것으로 발표했지만, 이를 5년 계약으로 바꿨다”고 보도했다.
존스의 교수직 처우 변화에 이목이 쏠리는 건 그가 뉴욕타임스의 탐사보도 시리즈인 ‘1619프로젝트’를 만들어 미국을 뒤흔든 건국 논쟁을 이끌었기 때문이다. 그는 2019년 뉴욕타임스의 노예제도 400주년 특집 기사에서 미국의 진정한 독립기념일은 아프리카에서 온 흑인 노예들이 미국 버지니아주의 한 해변에 처음 발을 디딘 1619년이라고 주장했다. ‘영국으로부터의 독립선언’을 기념하는 1776년 7월 4일이 아니라는 것이다.
해당 보도는 이듬해 퓰리처상을 받았지만,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미래 세대를 분열시키는 교육이라고 반발했다. 뉴욕타임스는 보수 성향의 노스캐롤라이나 주의회가 대학의 이사회에 영향을 미친 것을 원인으로 봤다.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