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 국회, 대학생 점거 사태로 업무 마비

대만 국회, 대학생 점거 사태로 업무 마비

입력 2014-03-20 00:00
수정 2014-03-20 17:0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학생운동 단체, 마잉주 총통과 직접대화 요구

대만 입법원(국회)이 학생운동 단체에 의해 사흘째 점거되면서 입법원 업무가 연일 마비 상태에 빠졌다.

입법원은 산하 8개 상임위의 법안 심의와 현안 공청회 등 모든 업무가 중단됐다고 20일 밝혔다.

비가 오는 궂은 날씨 속에 입법원 본회의장 안팎에서는 집권 국민당의 일방적인 중국과의 서비스무역협정 비준에 반대하는 점거 농성과 농성자들을 지지하는 시위가 이어졌다.

시위를 주도하는 학생운동 단체는 이날 기자회견을 열고 마잉주(馬英九) 총통과의 직접 대화를 요구했다. 이들은 지난 17일 상임위의 서비스무역협정 비준안 1차 통과 결정 무효 처리, 양안 협력 감독장치 법제화 등도 촉구했다.

이들은 21일 정오까지 공식 반응이 없으면 더 큰 항의행동에 직면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학생운동 단체 측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홍보 등을 통해 전날 입법원 밖에서 전국에서 집결한 학생과 일반 시민 등 3만여 명이 시위를 벌였다고 주장했다. 경찰은 입법원 본회의장과 입법원 외곽에 모인 시위자가 2천200여 명인 것으로 집계했다.

시위 현장에는 의료 및 법률 지원단이 등장해 현장 활동을 벌였다. 진보 진영 학자 등은 ‘민주 강의’라는 이름으로 즉석 강연을 하기도 했다. 집회 현장에는 고등학생 등도 모습을 보였다.

대만에서 망명생활을 해온 중국 톈안먼(天安門) 민주화 운동 학생 지도자 왕단(王丹)과 우얼카이시(吾爾開希)도 이날 농성 현장에 나타나 “대만에 이런 젊은이들이 있어서 정말 좋다”는 내용의 격려 발언을 했다.

경찰은 2천500여 명의 병력을 입법원 주변에 배치하고, 주변 일부 도로를 차단했다.

왕진핑(王金平) 입법원장(국회의장)은 “점거 농성 학생들의 안전을 위해 강제로 해산시키지는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야권은 21일 본회의 개최일에 맞춰 서비스무역협정 재개정 촉구 시위를 계획하고 있다.

국민당 지지 세력도 ‘반격’ 움직임을 보였다. 보수 진영에선 이번 농성으로 국회의 권위가 훼손되고 대의 민주주의 제도가 타격을 받았다는 주장을 내놨다.

대만 상공인 단체와 중국 거주 대만상인연합회 등은 서비스무역협정의 조속한 비준을 촉구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서비스무역협정 비준에 반대하는 학생운동 단체 소속 대학생과 활동가 등 200여 명은 18일 밤 경찰의 저지선을 뚫고 입법원 본회의장을 기습 점거해 농성에 들어갔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