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종 말레이機 잔해 맞다” 더 꼬인 추락 미스터리 왜?

“실종 말레이機 잔해 맞다” 더 꼬인 추락 미스터리 왜?

홍희경 기자
홍희경 기자
입력 2015-08-07 00:08
수정 2015-08-07 02:3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비행기 좌석 쿠션·창 유리 추정 잔해 추가 발견

지난달 29일 아프리카 근처 인도양의 프랑스령인 레위니옹 섬에서 발견된 여객기 잔해는 17개월 전 실종된 말레이시아항공 MH370편으 일부로 규명됐다. 또 비행기 좌석 쿠션과 창 유리로 추정되는 잔해가 레위니옹 섬 근처에서 발견됐다고 AFP통신이 6일 보도했다. 수색 작업에 청신호가 켜졌지만 MH370이 예정 항로를 벗어난 이유와 추락 경위를 둘러싼 미스터리는 짙어지는 분위기다.

●말레이 총리 “레위니옹섬서 발견 잔해 실종기의 일부”

나집 라작 말레이시아 총리는 이날 오전 “국제 분석팀이 MH370 잔해를 레위니옹 섬에서 발견하며 MH370이 인도양 남쪽에 비극적으로 추락했다는 물리적 증거가 나왔다”면서 “239명 희생자 유족들의 말 못할 고통과 불안이 조금이라도 해소되기를 바란다”고 위로했다. 오후에는 리아우 티옹 라이 말레이시아 교통부 장관이 “MH370과 같은 보잉777 기종의 것으로 보이는 유리창, 알루미늄 포일, 의자 쿠션 등을 추가로 확보했다”면서 “프랑스 툴루즈에서 잔해를 정밀분석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해 3월 8일 실종 515일 만에 추락 증거가 포착된 이후 두 대의 수중 음파탐지선이 진행해 온 해상 수색은 새로운 전기를 맞았다. 수색을 지휘한 호주교통안전국(ATSB) 관계자는 지역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우리가 제대로 된 해역을 수색하고 있었다”고 말했다. 수색 지점에서 4800㎞ 떨어진 지점에서 잔해가 발견됐지만 해류를 감안하면 충분히 가능한 일이었고, 실제 서호주대 연구팀이 사고 직후 실종 뒤 18~24개월이 지나면 레위니옹 섬 근처에 잔해가 도달할 것이란 전망을 내놓기도 했었다.

●미 항공 전문가 “수많은 퍼즐의 한 조각을 찾은 것일 뿐”

하지만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중국 베이징으로 향하던 항공기가 왜 정반대 방향인 인도양에서 추락했는지, 항로 이탈을 즈음해 이륙 40분 만에 통신이 왜 두절됐는지 등은 오리무중이다. 미국의 항공 전문가인 숀 프루치니키 오하이오주립대 교수는 CNN과의 인터뷰에서 “이번 잔해 발견은 수많은 퍼즐의 한 조각을 찾은 것과 같다”고 비유했다.

한편 잔해 발견으로 일말의 생존 가능성마저 사라지자 유족들은 체념하거나 분노했다. AFP통신은 “시신이 아니면 옷이라고 찾고 싶다”는 유족 반응을 전했다. 한 유족은 CNN과의 인터뷰에서 “잔해 발견 이후 나집 총리의 발표 전까지 달랑 문자 한 통을 받은 게 전부”라면서 “정부가 정해진 시나리오대로 꿰맞추기 발표를 하는 게 아니냐”고 불만을 표시했다.

홍희경 기자 saloo@seoul.co.kr
2015-08-07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