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인사이트] “이곳에선 실패는 다시 도전할 기회… 모든 창업 업무 도와줘”

[글로벌 인사이트] “이곳에선 실패는 다시 도전할 기회… 모든 창업 업무 도와줘”

이창구 기자
이창구 기자
입력 2015-05-18 17:46
수정 2015-05-18 18: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창업 서비스기업 칭콩커창 수석 매니저

중국 정부와 베이징시는 지난해 6월 고서점이 들어섰던 중관춘의 한 골목을 창업 거리로 개발했다. 경제가 고속성장에서 중속성장으로 바뀌는 신창타이(新常態·뉴노멀) 시대를 맞아 중국은 창업을 제2의 성장동력으로 삼고 있다. 매년 1300개의 기업이 새로 생기는 이 거리에는 ‘창업 카페’처럼 창업을 돕는 서비스 기업도 100개에 이른다. 정부와 창업자의 다리가 되어주는 창업 서비스기업 중 하나인 칭콩커창(淸控科創)의 수석 매니저 녜리사(?麗霞·33)를 만나 중국의 창업 지원 시스템에 대해 들어봤다.

이미지 확대
→창업 서비스 기업은 어떤 기업인가.

-정부가 설립한 창업 인큐베이터이다. 정부가 창업자를 일일이 지원할 수 없기 때문에 서비스 기구를 만든 것이다. 우리 회사도 정부와 칭화대가 공동 출자해 만들었다.

→주로어떤 서비스를 제공하나.

-서비스 기업마다 업무가 다르다. 설립 신고, 정부 정책 해설, 세무 및 법률 서비스, 투자자 연결, 리스크 관리, 재무 관리, 지적 재산권 보호, 사무실 임대료 보조 등이 있다. 이 거리에 오면 창업 업무는 다 처리할 수 있다고 보면 된다.

→창업 서비스 기업의 경비는 모두 정부가 지원하나.

-주로 정부가 지원하지만 창업 기업으로부터 약간의 수수료도 받는다. 정부가 일률적으로 자금을 주는 게 아니라 서비스 기업 간 경쟁을 붙여 실적대로 차등 지급한다.

→정부 지원을 받으면 규제가 따르지 않나.

-불법 행위를 하지 않는 한 별다른 규제는 없다.

→바이두와 샤오미처럼 이곳에서 성공한 기업들이 신생기업을 도와주나.

-많은 도움을 준다. 정기적으로 자금을 출연하고, 창업 강좌도 연다. 이곳에서 출발한 대기업 대부분은 자체 창업 플랫폼을 운영하면서 창업자를 지원한다.

→실패한 기업도 많이 나오지 않나.

-창업 기업 중 30%는 1년을 버티지 못한다. 그러나 이곳에선 실패가 굴욕이 아니다. 다시 도전할 기회가 많기 때문이다. 아이디어와 기술만 좋다면 투자자는 계속 생긴다.

→외국인들도 창업하나.

-우리 회사가 지난해 400개 기업의 창업을 도왔는데 그중 60개 기업이 외국인들이 세운 것이다. 한 한국 유학생은 아동복을 코디해주는 인터넷 기업을 만들었는데 반응이 좋았다. 한국에서 유행하는 아동복에 관심이 많은 중국 엄마들을 겨냥한 창업이었다.

→창업에 거품은 없나.

-정부의 강력한 창업 정책과 지원으로 열기가 후끈 달아오른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창업 기업이 인터넷에만 머무는 게 아니라 1차, 2차, 3차 산업 등 실물경제와 연동돼 있어 창업 열기가 식는다고 거품이 꺼지듯 사라지지는 않을 것이다. 창업으로 인한 일자리 창출 효과도 크다.

베이징 이창구 특파원 window2@seoul.co.kr
2015-05-19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