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 동부 넘보는 푸틴… 하·도·루도 “합병” 요구

우크라 동부 넘보는 푸틴… 하·도·루도 “합병” 요구

입력 2014-03-25 00:00
수정 2014-03-25 03:5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러시아, 동부 접경에 병력 확대

크림반도를 합병한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동부 접경에 병력 배치를 확대하면서 이곳을 본격적으로 노리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이미지 확대
23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 등에 따르면 필립 브리들러브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최고 사령관은 “우크라이나와의 접경 지역에 배치된 러시아군은 대단히 규모가 크고 잘 준비돼 있다”면서 “이들은 결정만 내려지면 언제든 트란스니스트리아로 진격할 수 있다”고 밝혔다. 트란스니스트리아는 1990년 몰도바에서 분리·독립을 선언한 친러 성향의 자치공화국이다. 지난 18일 트란스니스트리아 의회 의장 미하일 부를라가 러시아 하원 의장 세르게이 나리슈킨에게 서한을 보내 러시아와의 합병을 검토해 줄 것을 요청했다. 이 때문에 트란스니스트리아가 ‘제2의 크림’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크다.

러시아는 열흘 전부터 약 8500명의 병력을 동원해 우크라이나 동부 접경 인근에서 대규모 군사훈련을 하고 있다. 프랑크발터 슈타인마이어 독일 외무장관은 “러시아가 냉전 종식 25년 만에 유럽에서 인정된 국경선을 불법으로 바꾸려고 한다”고 경고했다. 우크라이나 동부 지역 도시들에서는 친러시아계 주민들의 시위도 커지고 있다. 이들은 러시아로의 편입이나 자치권 확대를 요구하고 있다. 이날 하리코프 시내에서는 친러시아계 주민 약 4000명이 집회를 열고 연방제 채택을 주장했다. 도네츠크에서는 약 2000명이 시위에 참가해 시 의회 인근에 있던 우크라이나 국기를 내리고 러시아 국기를 게양했다. 전날엔 5000명의 시민들이 러시아 귀속 여부를 묻는 주민투표를 요구하며 시위를 벌였다. 루간스크에서는 시위대가 “러시아 편입 찬반 여론조사 결과 10만명 이상이 러시아 귀속에 서명했다”고 밝혔다.

한편 우크라이나는 이날 결국 크림반도에 주둔한 자국군대의 철수를 공식 결정했다. 알렉산드르 투르치노프 대통령 권한 대행은 “우리 군과 가족의 신변을 보호하기 위해 국가안보위원회에서 철수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 출근시간대 혼잡 해소 8333번 맞춤버스 운행 예고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강동3, 국민의힘)이 강동구 주민들의 출근길 교통난 해소를 위한 반가운 소식을 전했다. 그간 극심한 혼잡으로 주민 불편이 컸던 3324번 버스 노선의 혼잡도 완화를 위해 출근시간대 전용 신설노선 8333번이 12월 중 운행에 들어갈 예정이다. 지난 13일 서울시로부터 공식 보고를 받은 박 의원은 “오랜 기간 주민들이 겪어온 출근시간대 버스 혼잡 문제가 드디어 해결의 실마리를 찾게 됐다”며 “신설 노선이 강동구 주민들의 출근길을 한결 편안하게 만들어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신설되는 맞춤버스 8333번은 오전 6시 40분부터 8시 05분까지 총 8회 운행되며, 암사역사공원역–고덕비즈벨리–강일동 구간을 단거리로 반복 운행한다. 출근시간대에 집중되는 승객을 분산시켜 기존 3324번의 부담을 덜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간 3324번 버스는 평일 12대의 차량으로 운행되며 강일동을 경유해 왔지만, 출근시간대 최대 혼잡도가 160%를 넘어서며 승객 불편과 안전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특히 고덕비즈벨리 기업 입주 증가와 유통판매시설 확대로 승차 수요가 급증하면서, 기존 노선만으로는 혼잡 완화가 어려운 상황이었다. 박
thumbnail -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 출근시간대 혼잡 해소 8333번 맞춤버스 운행 예고

백민경 기자 white@seoul.co.kr

2014-03-25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관련기사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