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년만에 내년 성장률 마이너스로
러시아 정부가 내년 경기전망치를 수정하며 6년 만에 경기침체 가능성을 처음 인정했다. 전 러시아 중앙은행 총재도 금융권에서 패닉이 감지되고 있다고 언급해 심각성을 드러냈다. 이런 가운데 미국과 유럽연합(EU)이 추가 경제제재 방안을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러시아가 벼랑 끝으로 몰리는 형국이다.러시아 경제개발부는 2일(현지시간) 2015년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1.2%에서 마이너스 0.8%로 하향 조정했다. 알렉세이 베데프 경제차관은 이날 회견에서 “러시아 경제가 흔들리고 있다”면서 “유가 하락이 핵심 원인”이라고 말했다. 러시아의 석유산업은 연간 수출액의 49%를 차지하고 세수 비중도 45%에 달한다. 미국·EU 등의 경제제재에다 지난 6월 이후 40% 가까이 하락한 국제유가가 러시아 경제에 직격탄이 됐다.
베데프 차관은 러시아 우랄 원유 가격이 올해 말까지 배럴당 평균 99달러가 될 것으로 보인다면서 애초 전망치는 104달러였다고 말했다. 내년에는 평균 80달러까지 떨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러시아의 경기 하강은 2009년 1분기 이후 처음이다. 베데프 차관은 이번 4분기도 제로 성장 또는 마이너스 성장이 될 수도 있다고 언급했다. 경제부는 내년 러시아 국민의 실질임금과 가계소득도 각각 3.9%, 2.8%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경제 상황 악화에 실업률은 6.5% 증가할 것으로 봤다. 서방제재는 러시아 자본 유출을 가속화했다. 올해 순자본 유출은 애초 1000억 달러보다 많은 1250억 달러였다. 내년엔 900억 달러로 자본 유출이 완화될 것으로 기대했다.
암울한 전망은 이날 주식시장을 무겁게 짓눌렀고 루블화 추가하락을 가져왔다. 지난 3개월간 달러에 대한 루블화 가치는 약 30% 하락했다. 2일 오후 루블화는 5.4% 하락한 달러당 53.97루블에 거래됐다. 이날 한때 하락폭은 6%에 달하기도 했다.
한편 1998년 러시아 외환위기 때 중앙은행 총재를 지낸 세르게이 두비닌은 “최근 실행에 들어간 루블화 자유 변동 환율제와 차입 비용 상승이 러시아 경제에 악영향을 주는 ‘나쁜 조합’(bad combination)”이라며 “이 때문에 금융시장에 일부 공포감이 있다”고 말했다.
박상숙 기자 alex@seoul.co.kr
2014-12-04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