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 채무협상 타결 직전 깬 치프라스

그리스 채무협상 타결 직전 깬 치프라스

조태성 기자
입력 2015-02-13 00:12
수정 2015-02-13 01:3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유로그룹 공동선언문 채택 불구…“구제금융 연장 표현 들어갔다”

그리스 구제금융 재협상이 타결 직전 무산됐다. 알렉시스 치프라스 그리스 총리의 뻣뻣한 자세 때문으로 알려졌다.

12일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유로그룹(유로화 사용 19개국 재무장관 협의체)은 야니스 바루파키스 그리스 재무장관과 재협상안을 타결시킨 뒤 공동선언문을 채택했으나 바루파키스 장관이 막판에 합의를 취소했다. 공동선언문에 “현행 구제금융 프로그램의 연장”이라는 표현이 들어갔기 때문이다.

치프라스 총리는 “구제금융은 없애고 가교프로그램을 만들겠다”는 입장이었고 유로그룹은 “약속 파기는 있을 수 없는 일”이라 맞서 왔다. 때문에 이번 합의안은 오는 28일 만기가 돌아오는 1710억 유로의 구제금융을 연장하되 ‘구제금융’과 ‘가교프로그램’이란 두 가지 표현을 모두 다 쓰는 방식을 택했다. 어차피 평행선을 달릴 문제로 계속 싸우느니 일단 눈앞의 불부터 끄자는 것이다. 합의 뒤 유로그룹 재무장관들은 자리를 떴으나 뒤늦게 치프라스 총리의 지시를 받은 바루파키스 장관이 합의 파기를 선언했다.

유로그룹은 비판적인 분위기다. 유로그룹 의장을 맡고 있는 예룬 데이셀블룸 네덜란드 재무장관은 “개인적으로 이번 협상을 잘 타결하고 싶었던 야망이 있었지만 불행히도 그리 되지 못했다”면서 “이렇게 함께 해 나갈 수 있는 공통기반을 없애버린다면 도대체 누가 앞으로 그리스와 함께 일하겠느냐”고 말했다. FT는 “구제금융은 없다는 정치적 구호, 그리고 협상 직전 의회 투표를 통해 신임을 다시 한번 확인했다는 자신감 등이 치프라스를 이렇게 몰고 가고 있다”고 비꼬았다.

한편 중국과 추진하다 치프라스 총리가 취소시킨 피레우스항 민영화 계획도 중국의 반발을 사고 있다. 피레우스항 민영화 계획에 대한 투자를 직접 챙기던 리커창 총리는 이날 치프라스 총리에게 전화를 걸어 항의의 뜻을 전했다. 치프라스 총리는 “양국 간 협력 프로젝트의 성격을 변경시키지 않을 것”이라며 중국의 지속적인 투자를 요청했다. 만약 탈유럽을 추진한다면 중국은 그리스가 기댈 주요 언덕 중 하나로 꼽힌다.

김경 서울시의원, 서울시 온라인 홍보 3대 지표 성과 격려… “새로운 공공소통 모델 될 것”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김경 의원은 지난 4일 제333회 정례회 홍보기획관 대상 행정사무감사에서 서울시가 운영하는 온라인 홍보 채널의 최근 성과를 집중적으로 점검하며 “짧은 기간 안에 상당히 큰 성과를 달성했다”며 “서울시 공공소통의 새로운 기준을 만들고 있다”고 평가했다. 김 의원은 먼저 서울시 유튜브 채널 성과를 언급하며 “조회수가 86% 증가해 연간 840만명이 시정 콘텐츠를 시청했고, 구독자 수는 26만명에 달한다”고 질의했다. 이어 “주 20회 이상 자체 콘텐츠를 제작·발행해 양적 확대가 뚜렷하다”며 “단순한 예산투입형이 아니라 자체 제작 콘텐츠의 질을 기반으로 달성한 성장”이라고 높게 평가했다. 김 의원은 “이 정도 수준의 성과라면 단지 시정 홍보를 넘어 공공 소통 모델로서 타 지자체 또는 정부부처와 공유할 가치가 충분하다”고 강조하며, 다른 지자체와의 협업 계획 여부를 질의했다. 이에 홍보기획관은 “필요하다면 언제든 협력 가능하다”고 답했다. 인스타그램 성과에 대해서도 김 의원은 상세히 점검했다. 김 의원은 “서울시 인스타그램 팔로워가 50만명(※ 실제 현행 약 54.2만명)으로, 2위 부산시의 약 19.7만명과 큰 격차를 보인다”며 “
thumbnail - 김경 서울시의원, 서울시 온라인 홍보 3대 지표 성과 격려… “새로운 공공소통 모델 될 것”

조태성 기자 cho1904@seoul.co.kr
2015-02-13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