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탈리아 밀라노 시내 한가운데 설치된 벌거벗은 여성 조형물에 대해 여성혐오를 비판하는 페미니스트 예술로 볼 수 없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이미지 확대
가에타노 페시의 ‘고통받는 폐하’ 밀라노 AFP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가에타노 페시의 ‘고통받는 폐하’
밀라노 AFP
영국 가디언은 10일(현지시간) 올해 밀라노 디자인 위크를 맞아 두오모 광장에 설치된 작품 ‘고통받는 폐하’가 여론의 뭇매를 맞고 있다고 전했다. 이탈리아 유명 건축가이자 디자이너인 가에타노 페시가 만든 이 작품은 여성의 신체를 의자로 형상화하고 있으며 400여개의 화살이 꽂힌 채 야생동물에게 둘러싸여 있다.
페시는 1969년 목 지지대 부분이 여성의 가슴을 떠올리게 하는 의자를 선보였으며 이번 작품 역시 비슷한 형태다. 페시는 이 작품을 죄수로서의 여성이라는 아이디어에서 착안했다. 남성들의 편견이라는 감옥에 갇힌 여성들은 그곳에서 벗어날 수 없는 세상에 살고 있다는 의미다.
그러나 작가이자 사회활동가인 크리스티아 도나티 마이어는 더타임스에서 “이 예술가는 여성을 실내장식으로밖에 생각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실제 마이어는 이 조형물에 “대상으로서의 여성이 하나의 소파로서의 여성에게”라는 글귀의 스티커를 붙이기도 했다.
가디언 칼럼니스트이자 작가인 리아논 루시 코스릿도 “여성혐오를 비판하는 데 가장 적합한 사람이 이탈리아 남성은 아닐 것”이라면서 “이탈리아는 2016년 기준 남성에 의해 살해당한 여성이 149명을 기록하며 유럽 내에서도 페미사이드(여성혐오적 살해)의 비율이 가장 높은 국가 중 하나”라고 지적했다. 이탈리아 여성들은 1970년대까지만 해도 자신의 강간범과 결혼하도록 강요받았다.
민나리 기자 mnin1082@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