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희생자의 아들 “10년 전에 이미 용서, 이제야 일단락된 기분”

AP 자료사진 연합뉴스
1975년부터 1980년까지 13명의 여성을 잔혹하게 살해한 혐의로 종신형을 복역하다 병원에서 13일(이하 현지시간) 사망한 ‘요크셔 리퍼’ 피터 윌리엄 섯클리프가 1981년 1월 5일 드루스베리 행정순회법원에 담요를 뒤집어 쓴 채 끌려나오고 있다.
AP 자료사진 연합뉴스
AP 자료사진 연합뉴스

AP 자료사진 연합뉴스
피터 섯클리프의 1978년 모습이다.
AP 자료사진 연합뉴스
AP 자료사진 연합뉴스
1981년 종신형을 선고받고 30년 동안 여러 건강 문제로 브로드무어 병원에서 치료를 받아오다 2016년 카운티 더럼의 HMP 프랭크랜드 병원에 이송됐는데 최근 코로나19 감염 판정을 받고 더 이상 치료를 받지 않겠다고 주장해 스스로 삶을 접었다고 BBC가 13일 전했다.
그의 연쇄 살인은 범죄학 교과서에 실릴 만했다. 망치나 스크루드라이버, 흉기 등을 써서 시신을 토막낸다고 해서 ‘요크셔 리퍼’로 불렸다. 첫 번째 희생자는 1975년 10월 리즈에서 네 아이를 키우던 엄마인 윌마 맥칸(당시 28)이었다. 망치로 내리쳐 쓰러뜨린 뒤 15차례 흉기로 찔렀다. 다섯 살 때 그의 손에 어머니를 잃은 리처드 맥칸(50)은 “어두워서 어머니의 시신을 보지 못했는데 그것이 천만다행인 일이었다”고 돌아본 뒤 섯클리프의 죽음으로 “뭔가가 일단락된 것 같다”는 소감을 남겼다. 섯클리프를 오래 추적했던 전직 경찰 봅 브리지스톡은 그의 죽음에 “눈물 한 방울 비치지 않을 것 같다”고 말했다.
리처드는 BBC 브랙퍼스트 인터뷰를 통해 “오랫동안 그는 여론의 관심을 받아 우리가 고통스럽게 계속 새 소식을 전해왔다. 어쩌면 이렇게 끝날 일이었다. 난 많은 가족들, 살아남은 아이들이 그가 세상을 떠난 소식에 기뻐할 것이라 믿고 그들은 그렇게 느낄 권리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미 2010년쯤 그는 더 이상 화를 내면 안된다고 생각해 섯클리프를 용서했다고 털어놓은 뒤 “그가 떠났다는 소식을 들으니 유감스럽다. 내가 화를 내는 데 세월을 허비했던 과거 같으면 그렇게 말하지 못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의 어미니 윌마의 뒤를 이어 이듬해 1월 에밀리 잭슨(42), 1977년 2월 아이린 리처슨(28, 이상 리즈), 2개월 뒤 패트리샤 앳킨슨(32 브래드포드), 같은 해 6월 제인 맥도널드(16 리즈), 같은 해 10월 진 조던(21 맨체스터), 이듬해 1월 이본느 피어슨(22 브래드포드)과 헬리 리트카(18 허더스필드), 같은 해 5월 베라 밀워드(41 맨체스터), 다음해 5월 조세핀 휘태커(19 핼리팩스), 4개월 뒤 바버라 리치(20 브래드포드), 이듬해 8월 마게리트 월스(47), 3개월 뒤 재클린 힐(20, 이상 리즈)이 차례대로그의 손에 죽임을 당했다.

AP 자료사진 연합뉴스
‘요크셔 리퍼’의 끔찍한 범행에 분노한 두 젊은이가 1981년 1월 5일 드루스베리 행정순회법원 앞에서 한 명은 올가미를 들고, 다른 한 명은 “요크셔 리퍼는 비겁한 놈일 뿐이다. 그를 목매달아라”고 적힌 플래카드를 들어 보이고 있다.
AP 자료사진 연합뉴스
AP 자료사진 연합뉴스
나중에 보니 그의 범행 기록을 경찰끼리 제대로 인계하지 않아 체포에 필수적인 정보를 빠뜨리는 일이 많았던 것으로 드러났다. 이렇게 엉터리 수사가 진행되는 바람에 선덜랜드 억양이 강한 존 험블이란 범죄자가 자신이 진범이라고 경찰에 거짓말을 늘어놓는 바람에 수사력을 낭비하는 일까지 벌어졌다. 섯클리프에게 당할 뻔했던 피해자가 그 지방 사람 말투였다고 증언해도 경찰은 한사코 험블을 진범이라고 우겨 망신살이 뻗쳤다. 험블은 지난해 사망했는데 자신이 연쇄살인범이라고 구장하는 편지, 녹음 기록을 조작해 언론과 경찰을 속였는지 동기를 밝히지 않고 세상을 떠났다.
임병선 평화연구소 사무국장 bsn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