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민당 간판’ 만들려다 부메랑에 맞은 아베…후폭풍 예상

‘자민당 간판’ 만들려다 부메랑에 맞은 아베…후폭풍 예상

입력 2014-10-21 00:00
수정 2014-10-21 09:2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일본 언론 “파문 줄이려 동시 사임 유도”…야당 공세 예고

일본 아베 신조(安倍晋三) 정권의 각료 2명이 개각 한 달 반 만에 비위로 물러나자 정권에 대한 비판론이 나오고 있다.

일본 언론은 오부치 유코(小淵優子) 경제산업상과 마쓰시마 미도리(松島みどり) 법무상이 20일 동시에 사임한 것은 아베 정권이 각료를 제대로 검증하지 않고 명목에 치중해 낳은 불상사라고 평가했다.

아사히(朝日)신문은 21일 사설에서 각료 2명이 유권자에게 이익을 제공하거나 기부한 의혹으로 사임한 것은 매우 이례적인 사태이며 이를 자초한 것이 아베 총리라고 비판했다.

이 신문은 개각에서 ‘간판 만들기’를 우선한 탓에 각료의 자질을 충분히 살피지 못하고 불상사의 싹을 간과한 것이 아니냐고 의문을 제기했다.

요미우리(讀賣)신문은 인선에 관한 “사전 조사가 허술했다”며 두 각료의 사직으로 사태를 마무리하면 안 된다”며 의회에서 이들의 해명을 검증하고 위법 여부를 제대로 따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마이니치(每日)신문은 “아베 총리의 책임이 무겁다”며 “사태의 마무리를 서두르기만 하지 말고 정권의 해이(解弛) 현상을 진지하게 반성하고 신뢰 회복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사설을 썼다.

두 각료가 같은 날 사임한 것은 아베 정권이 사태의 파문을 줄이려고 물밑 작업을 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대두하고 있다.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닛케이)은 오부치 전 장관이 이달 17일에 “조사는 하고 있지만 납득할 설명이 어렵다”며 이미 사직을 시사했지만 아베 총리 주변에서 아베 총리가 외국 방문 중인 것을 이유로 자제를 촉구했다고 보도했다.

반면 마쓰시마 전 장관은 유권자에게 부채를 나눠 준 것이 기부라는 논란을 스스로 해명하겠다며 자리를 지킬 뜻을 표명했으나 총리 관저 측에서 이 문제가 장기화할 것을 우려했다고 신문은 전했다.

닛케이는 아베 총리가 두 각료의 문제를 동시에 마무리 짓는 것을 원했고 이 때문에 정권이 오부치 전 장관의 사표 제출을 늦추고 ‘속투’를 희망하는 마쓰시마 전 장관을 설득해 같은 날 사임하도록 했다고 평가했다.

아사히신문은 “나 자신이 법에 저촉되는 일은 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면서도 “종합적 판단”에 따라 사임한다고 한 마쓰시마 전 장관의 발언에 주목하며 아베 총리가 그의 사임을 촉구한 것이라고 보도했다.

두 각료의 사임이 같은 날 이뤄진 것에 관해 마이니치신문은 제1차 아베 내각 때 지지율 하락을 가져온 ‘사임 도미노’의 재발을 막기 위한 조치였다고 분석했다.

일본 야당은 두 각료의 사임을 록히드 사건, 리쿠르트 사건, 도쿄 사가와큐빈 사건 등 정치인 부정한 자금이나 이익에 연루돼 큰 파문을 일으킨 이른바 ‘정치와 돈’의 문제로 규정하고 공세를 예고했다.

가이에다 반리(海江田万里) 민주당 대표는 “당연히 (총리의) 임명 책임을 시야에 넣고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민주당, 유신당, 공산당 등 7개 야당의 간사장·서기국장은 국회에서 회의를 열고 예산위원회 등에서 ‘정치와 돈’의 문제로 집중적으로 추궁하겠다는 방침을 확인했다.

이번 사태의 파장은 앞으로 실시되는 여론조사에서 아베 내각의 지지율이 어떻게 변하느냐에 따라 좌우될 것으로 보인다.

김경 서울시의원, 서울시 온라인 홍보 3대 지표 성과 격려… “새로운 공공소통 모델 될 것”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김경 의원은 지난 4일 제333회 정례회 홍보기획관 대상 행정사무감사에서 서울시가 운영하는 온라인 홍보 채널의 최근 성과를 집중적으로 점검하며 “짧은 기간 안에 상당히 큰 성과를 달성했다”며 “서울시 공공소통의 새로운 기준을 만들고 있다”고 평가했다. 김 의원은 먼저 서울시 유튜브 채널 성과를 언급하며 “조회수가 86% 증가해 연간 840만명이 시정 콘텐츠를 시청했고, 구독자 수는 26만명에 달한다”고 질의했다. 이어 “주 20회 이상 자체 콘텐츠를 제작·발행해 양적 확대가 뚜렷하다”며 “단순한 예산투입형이 아니라 자체 제작 콘텐츠의 질을 기반으로 달성한 성장”이라고 높게 평가했다. 김 의원은 “이 정도 수준의 성과라면 단지 시정 홍보를 넘어 공공 소통 모델로서 타 지자체 또는 정부부처와 공유할 가치가 충분하다”고 강조하며, 다른 지자체와의 협업 계획 여부를 질의했다. 이에 홍보기획관은 “필요하다면 언제든 협력 가능하다”고 답했다. 인스타그램 성과에 대해서도 김 의원은 상세히 점검했다. 김 의원은 “서울시 인스타그램 팔로워가 50만명(※ 실제 현행 약 54.2만명)으로, 2위 부산시의 약 19.7만명과 큰 격차를 보인다”며 “
thumbnail - 김경 서울시의원, 서울시 온라인 홍보 3대 지표 성과 격려… “새로운 공공소통 모델 될 것”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