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가 있는 40대 이상 일본 기혼여성의 30% 정도는 이른바 ‘정년이혼’을 생각해 본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년이혼은 배우자나 본인이 직장에서 정년퇴직을 하고나면 부부관계를 청산하고 갈라서는 것을 말한다. 또 일본 기혼여성의 4분의3은 이혼을 하지 않으면서 부부가 각자 독립된 생활을 하는 ‘졸혼’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한다.
법원 “남편 불륜 때문에 이혼했다면 내연녀도 위자료 내야”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법원 “남편 불륜 때문에 이혼했다면 내연녀도 위자료 내야”
3일 일본의 대형 보험회사인 메이지야스다생명 계열 메이지야스다생활복지연구소가 중년 이상 기혼남녀를 대상으로 실시해 발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자신이나 배우자의 정년을 계기로 이혼을 하겠다고 생각한 적이 있는가’라는 물음에 유자녀 여성 응답자의 28.1%가 ‘그렇다’고 답했다. 유자녀 남성의 응답률은 19.6%로 여성보다 8.5%포인트 낮았다. 조사는 일본의 전국 40~64세 남녀를 대상으로 지난해 인터넷에서 실시됐다.
자녀가 없는 사람들일수록 정년이혼을 꺼리는 현상이 두드러졌다. 무자녀 부부의 경우 정년이혼을 생각해본 적 있다는 응답이 여성 13.3%, 남성 11.1%로 유자녀 부부에 비해 크게 낮았다.
정년이혼을 생각하는 이유에 대해 여성들은 ‘퇴직 후에 매일 함께 생활하는 것은 견딜 수 없다’는 응답이 45.1%로 거의 절반을 차지했다. 남성은 ‘아내로부터 애정을 느낄 수 없다·아내에 대해 애정이 느껴지지 않는다’가 37.6%로 가장 많았다. ‘나이 들었을 때 배우자 수발을 하고 싶지 않다’는 응답은 남성은 1.9%에 불과했지만, 여성은 8.5%에 달했다.
한편 ‘졸혼’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비율도 여성이 73.5%로 남성(56.4%)을 크게 웃돌았다.
도쿄 김태균 특파원 windsea@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15년 만에 단행된 카카오톡 대규모 개편 이후 사용자들의 불만이 폭증하고 있다. 애플리케이션을 내려받을 수 있는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애플 앱스토어에는 “역대 최악의 업데이트”라는 혹평과 함께 별점 1점 리뷰가 줄줄이 올라왔고, 일부 이용자들은 업데이트를 강제로 되돌려야 한다며 항의하기도 했다. 여론이 악화되자 카카오는 개선안 카드를 꺼냈다. 이번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