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 상륙한 ‘엔저 태풍’

한국에 상륙한 ‘엔저 태풍’

입력 2013-04-27 00:00
수정 2013-04-27 12:2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MBC 다큐스페셜’ 29일 방송

‘엔의 전쟁’이 시작됐다.

작년 12월 아베 일본 총리가 취임한 이후 엔 가치는 30% 가까이 폭락했다. 1달러당 80엔대이던 엔·달러 환율은 불과 4개월 만에 100엔 돌파를 눈앞에 뒀다. 아베 정부의 목표는 일본의 잃어버린 20년을 되찾겠다는 것이다.

’MBC 다큐스페셜’은 29일 밤 11시20분 최근 엔저 현상의 원인과 세계 각국의 경제 상황을 다룬 ‘엔의 전쟁’을 방송한다.

전 세계는 불안에 떨고 있다. 오세아니아 및 아시아 국가들이 일본발 통화전쟁의 피해국이 될 전망이다. 그 중 최대 피해국은 한국이 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국내 자동차와 철강 산업이 직격탄을 맞는 가운데 한류 효과를 누린 엔터테인먼트 산업도 타격을 받고 있다.

이달 초 일본 도쿄돔 열린 그룹 JYJ 공연은 전석이 매진되며 성황리에 끝났다. 그러나 한국 기획사로는 입장료 수입ㄹ; 엔화 하락으로 30% 가까이 줄었다. 엔화가치가 더 하락한다면 일본 내 한류 공연이 불가능할 수도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엔저 현상으로 말미암은 피해는 일부 산업에 국한되지 않는다.

제작진이 찾은 여수 키조개 수출현장, 신안 김 양식장, 완도 전복 산지, 제주 광어 양식장, 부산 관광거리 등도 엔저 공습에 신음하고 있었다.

제작진은 “급격한 양적완화를 중심축으로 하는 아베노믹스는 주변국을 위협하고, 세계 각국을 통화전쟁에 강제로 끌어들이고 있다”고 지적한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