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안 앞바다 ‘보물선’이 보여주는 중세의 역동성

신안 앞바다 ‘보물선’이 보여주는 중세의 역동성

입력 2014-04-02 00:00
수정 2014-04-02 08:5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신간 ‘신안 보물선의 마지막 대항해’

1975년 8월20일, 전남 신안 앞바다에서 고기잡이하던 한 어민의 그물에 도자기 6점이 걸려 올라왔다. 문화재 당국은 이들 도자기가 중국 송(宋)~원(元) 시대에 만들어져 매우 가치가 큰 것으로 평가했다.

이후 여러 차례 추가 조사와 수중발굴이 이뤄지면서 이 지점에 엄청난 양의 유물을 실은 배가 침몰한 사실이 확인됐다. 고려청자를 비롯해 도자기만 2만661점에 달했고, 청동거울, 주전자, 잔, 접시, 악기 등 수많은 물품이 쏟아져 나왔다.

이 배는 고려 말기 한·중·일 3국을 오가던 중국 무역선이었고, 원 제국이 완성되고서 40여년 후인 1323년 중국 푸젠(福建)성 촨저우(泉州)항을 떠나 고려를 거쳐 일본 하카다(博多)항으로 가던 중 침몰했다는 것이 학계의 조사 결과다.

국내 수중고고학 역사상 첫 발굴로 기록되는 ‘신안선’ 이야기다. 발굴된 유물의 가치도 가치였지만, 당시 최첨단의 초대형 선박이던 이 ‘보물선’이 왜 진귀한 물건을 잔뜩 싣고 신안 앞바다를 지났는지부터가 학문적 연구 대상이었다.

’신안 보물선의 마지막 대항해’(서동인·김병근 지음)는 신안선과 거기에 실린 유물들을 1323년의 ‘타임캡슐’로 삼아 동아시아를 중심으로 중세시대 사회상과 시대의 흐름, 국가 간 교역관계, 상인들의 활동 등을 재구성한 책이다.

촨저우가 당(唐)대부터 상업항이었고 송·원대에는 중동과 유럽에까지 알려진 국제무역항이었다는 점, 14세기 초 이처럼 많은 귀중품을 실은 대형 무역선이 운용된 점 등을 보면 바다를 무대로 한 중세상인들의 활약상이 자연스럽게 그려진다.

신안선이 운항하던 무렵 세계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었다. 12세기 십자군 전쟁 이후 유럽과 서아시아가 가까워졌고, 13세기 원 제국은 이라크와 시리아까지 진출했다. 육로와 바닷길로 오가는 정보는 동아시아와 유럽, 아프리카를 연결했다.

원 제국과 수십년간 이어진 전쟁으로 고려 백성들의 민생고는 극에 달했지만, 삶의 터전을 잃고도 좌절하지 않고 바다에서 미래를 찾으려 한 상인과 지식층이 있었다. 원 제국으로부터 홀대받은 과거 남송 지역 옛 귀족들도 상인으로 변신해 바다로 나갔다. 신안선이 상징하는 중세 해상무역 시대의 주인공은 이런 이들이었다.

대형 무역선에 상품을 가득 싣고 먼 바닷길을 오가는 이들 중세상인의 모습에서 저자들은 국가 간 교류와 교역 증가, 수공업 생산력 증대 등 중세시대 나타난 사회적 변화를 포착한다. 이런 맥락에서 신안선에 실렸던 도자기, 차, 한약재, 불교용품 등은 단순한 유물이 아니라 중세 산업구조와 문화를 읽어내는 단초가 된다.

저자들은 “신분 차별, 빈부 갈등, 정치적 압제 등 개인의 발전과 행복을 가로막는 장애가 많은 시대였지만 세상은 달라지고 있었다”며 “신안선은 상인들의 치열한 삶과 중세시대 여러 나라의 모습을 들여다볼 수 있는 창구”라고 썼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