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중앙박물관(국박)이 새 단장한 상설전시실 중근세관의 ‘조선실·대한제국실’을 16일 일반 공개한다.
국박은 관람객들의 쉽고 재미있는 역사 이해를 위해 ‘조선실 대한제국실’의 유물 설명을 보강하고 일러스트와 영상 같은 다양한 시각자료를 대폭 동원했다고 15일 밝혔다.
이를 위해 조선 건국 시점인 1392년부터 대한제국의 주권 상실 해인 1910년까지 500여 년 역사를 세기별로 구분하고 임진왜란·병자호란과 17세기 화폐경제의 발달 양상을 볼 수 있는 자리를 각각 별도로 마련했다는 게 국박측의 설명이다.
‘대동여지도‘ ‘동국대지도’ 같은 대형 지도를 새 진열장에 전시하는 한편 유물의 기능과 역사적 의의와 관련한 문헌 기록을 찾아 소개한 것도 특징이다. 전시물은 크게 바뀌지 않은 편이나 사도세자가 12세에 쓴 글씨와 숙종이 1676년 주요 관원들이 갖출 자세를 일갈한 ‘숙종대왕계시’를 새로 들였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국박은 관람객들의 쉽고 재미있는 역사 이해를 위해 ‘조선실 대한제국실’의 유물 설명을 보강하고 일러스트와 영상 같은 다양한 시각자료를 대폭 동원했다고 15일 밝혔다.
이를 위해 조선 건국 시점인 1392년부터 대한제국의 주권 상실 해인 1910년까지 500여 년 역사를 세기별로 구분하고 임진왜란·병자호란과 17세기 화폐경제의 발달 양상을 볼 수 있는 자리를 각각 별도로 마련했다는 게 국박측의 설명이다.
‘대동여지도‘ ‘동국대지도’ 같은 대형 지도를 새 진열장에 전시하는 한편 유물의 기능과 역사적 의의와 관련한 문헌 기록을 찾아 소개한 것도 특징이다. 전시물은 크게 바뀌지 않은 편이나 사도세자가 12세에 쓴 글씨와 숙종이 1676년 주요 관원들이 갖출 자세를 일갈한 ‘숙종대왕계시’를 새로 들였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