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로 본 여성] 고용률 처음 50% 넘어…41%는 비정규직

[통계로 본 여성] 고용률 처음 50% 넘어…41%는 비정규직

입력 2017-06-27 12:45
수정 2017-06-27 12:4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임금은 남성 64% 수준…여성법조인 15년새 8배↑

지난해 여성 고용률이 처음으로 50%를 돌파했다. 월평균·시간당 임금이 늘었지만 비정규직 비중도 함께 증가했고 남성과 임금격차는 여전한 것으로 조사됐다.

27일 여성가족부와 통계청이 발표한 ‘2017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에 따르면 지난해 여성 고용률은 전년보다 0.3%포인트 증가한 50.2%로, 사상 처음 50%를 넘었다.

남성 고용률(71.1%)과 격차는 20.9%포인트로 좁혀졌고 실업률은 3.6%로 전년과 같았다.

연령대별로는 20대 후반 여성 고용률이 69.5%로 가장 높았고 40대 후반(68.6%), 50대 전반(65.9%) 순이었다. 결혼·임신·출산·육아로 경력단절이 주로 발생하는 30대 후반에 고용률이 56.5%로 떨어졌다가 40대에 다시 오르는 ‘M자형’ 패턴을 보였다.

임금근로자 비중은 77.2%로 전년보다 0.8%포인트 증가했고 남성(72.5%)보다 4.7%포인트 높았다. 상용근로자는 비중은 44.7%로 남성(53.0%)보다 낮고 임시근로자는 27.5%로 남성(13.6%)보다 많았다.

임금근로자 가운데 정규직은 59.0%, 비정규직이 41.0%였다. 비정규직 비율은 전년보다 0.9%포인트 늘어 같은 기간 0.1%포인트 감소한 남성과 대조됐다. 여성 비정규직은 50대가 22.4%, 40대와 60대가 각각 21.4%를 차지했다.

시간제로 일하는 여성은 전년보다 14.5% 늘어난 177만2천명이었다. 전체 비정규직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50.1%로 처음 50%를 넘었다.

1인 이상 사업체의 여성 임금은 월평균 186만9천원이었다. 전년보다 8만8천원 늘었지만 남성 임금의 64.1% 수준이었다. 시간당 임금은 780원 증가한 1만1천507원이었지만 남성과 비교하면 68.4%에 그쳤다.

여성 임금근로자의 64.3%는 국민연금에, 67.0%는 건강보험에 가입했다. 고용보험 가입률은 64.8%였다. 사회보험 가입률은 전년보다 각각 2% 이상 증가했지만 남성에 비하면 모두 10%포인트 이상 낮았다.

사회 각 분야에 진출하는 여성은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지난해 초등학교 교장 중 여성이 34.5%로 처음 30%를 넘었다. 초등학교 교원은 77.0%가 여성이었다. 중학교·고등학교 여성 교장도 각각 24.3%, 9.9%로 증가 추세다.

재작년 전체 공무원 중 여성은 전년보다 0.7%포인트 증가한 44.6%였다. 일반직 4급 이상 공무원 중 여성 비율은 10.6%로 처음 10%를 넘겼다. 지난해 외무고시 합격자의 70.7%, 사법시험은 36.7%가 여성이었다. 5급 공채 합격자는 41.4%, 9급은 57.6%를 차지했다.

재작년 기준 판사·검사 등 법조인 가운데 여성 비율은 24.1%로 15년 전 3.1%에서 8배가량 늘었다. 지난해 의사의 25.1%, 한의사의 20.4%가 여성이었다. 작년 총선에서 당선된 여성 국회의원은 전체의 17.0%인 51명, 재작년 지방선거에서 배출된 여성 의원은 845명으로 전체의 22.9%였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