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양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보물 지정

백양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보물 지정

이순녀 기자
이순녀 기자
입력 2020-06-24 00:24
수정 2020-06-24 03:2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현진 스님 작품 중 가장 오래된 불상…왕·왕비 성불 기원하며 1607년 제작

남장사 ‘목조관음보살좌상’도 보물 지정
이미지 확대
장성 백양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장성 백양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조선 후기 불교조각 대가인 조각승 현진(玄眞)이 만든 현존 작품 가운데 가장 오래된 불상인 ‘장성 백양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이 보물로 지정됐다.

문화재청은 17세기 불교 조각사를 대표하는 현진이 주도해 선조 40년(1607년)에 휴일, 문습과 함께 만든 높이 208㎝의 이 불상을 보물 제2066호로 지정했다고 23일 밝혔다.

현진은 임진왜란 때 소실된 불상의 조성과 광해군비가 발원한 자수사와 인수사의 11존 불상 제작을 지휘하는 등 왕실과 전국을 무대로 활동한 조각가였다. 불상 받침대인 대좌 아래 묵서(墨書·먹으로 쓴 글)에 따르면 이 불상은 선대 왕과 왕비의 명복을 빌고 성불(成佛)을 기원하고자 만들었다.

장대한 규모에 긴 허리, 원만한 얼굴과 당당한 어깨, 신체의 굴곡에 따라 자연스럽게 처리된 옷 주름, 안정된 자태 등에서 현진의 뛰어난 조각 실력과 17세기 불교 조각의 새로운 경향이 확인되는 불상이다. 또한 1741년과 1755년에 작성된 중수 발원문을 통해 불상에 금칠을 다시 하는 개금(改金)과 중수 내력, 참여 화승의 명단과 역할을 알 수 있어 학술적 의미도 크다.

문화재청은 아울러 15세기 제작으로 추정되는 ‘상주 남장사 관음선원 목조관음보살좌상’도 보물 제2067호로 지정했다. 불상은 남장사 내 부속사찰인 관음선원에 봉안돼 있다. 이 관음보살좌상 뒤에는 보물 제923호 ‘상주 남장사 관음선원 목조아미타여래설법상’이 놓여 있다. 문화재청은 “15세기 조선 전기 불상이라는 점에서 희소성이 있고, 우리나라 불교 조각사에서 차지하는 위상이 높은 작품으로 평가된다”고 밝혔다.

이순녀 선임기자 coral@seoul.co.kr
2020-06-24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