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호필·매켄지… 독립운동 도왔던 외국인 5명 재조명

석호필·매켄지… 독립운동 도왔던 외국인 5명 재조명

김희리 기자
김희리 기자
입력 2019-02-21 22:32
수정 2019-02-21 23:5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국의 독립운동과 캐나다인’ 특별전

캐나다 수의사 프랭크 스코필드(1889~1970) 박사는 1916년 세브란스 의학전문학교 교수로 우리 땅을 밟았다. 한국어를 공부해 선교사 자격을 얻은 그는 ‘바위같이 굳은 의지와 호랑이의 마음으로 한국을 돕는 사람이 되겠다’는 의미로 ‘석호필’이란 한국명을 받았다. 1919년 3·1운동이 일어나자 독립운동 현장을 사진에 담아 기록했으며, 화성 제암리 교회 학살사건 등 충격적인 일제의 만행을 세계에 알리기도 했다. “한국에 묻어 달라”는 유언을 남긴 그는 1970년 외국인으로는 유일하게 국립현충원에 안장됐다.

100년 전 독립을 위해 힘든 싸움을 했던 우리 선조들 옆엔 국적을 떠나 폭력에 항거하고 진실을 마주했던 외국인들도 있었다. 서울시는 23일부터 다음달 31일까지 시청 시민청 시티갤러리에서 ‘한국의 독립운동과 캐나다인’ 특별전을 연다고 밝혔다. 서울시와 주한캐나다대사관 주최, ㈔스코필드기념사업회와 키아츠(KIATS·한국고등신학연구원) 주관이다.

전시에는 스코필드 박사 외에도 영국에서 ‘한국친우회’를 조직해 한국의 독립운동을 후원한 프레드릭 매켄지(1869~1931), 병원·학교·교회 등을 설립하며 애국계몽운동을 벌인 로버트 그리어슨(1868~1965), 중국에서 독립만세운동 사상자 치료와 희생자 장례식을 개최한 스탠리 마틴(1890~1941), 명신여학교를 세워 교육에 힘쓴 아치발드 바커(?~1927) 등 캐나다 출신 독립운동가의 활동 모습을 담은 사진과 관련 일러스트, 글, 영상 등 50여점이 공개된다. 스코필드 박사가 촬영한 독립만세를 외치는 민중들 사진도 만날 수 있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한민족의 의지를 세계에 알린 데다 의료·교육 발전을 이끌며 헌신한 분들의 정신을 기억하고 되새기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희리 기자 hitit@seoul.co.kr

최기찬 서울시의원 “금천구 시흥동 1005번지(중앙하이츠) 모아주택 통합심의 통과”

최기찬 서울시의원(더불어민주당, 금천2)이 서울시가 제17차 소규모주택정비 통합심의 위원회에서 ‘금천구 시흥3동 1005번지 일대 모아주택’ 사업시행계획안을 통과시킨 것을 환영했다. 그간 노후 건축물이 밀집되어 있으면서도 구릉지형으로 인해 도시정비가 어려웠던 시흥동 지역이 이번 사업을 통해 본격적으로 재생될 수 있게 됐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평가했다. 금천구 시흥3동 1005번지 일대 모아주택은 ▲7개 동 473세대(임대주택 95세대 포함) 공급 ▲2030년 준공 예정 ▲용적률 완화로 사업성 강화 등의 특징을 갖고 있다. 특히 이번 사업은 단순한 건축이 아닌 종합적 주거환경 개선을 목표로 추진된다. 호암산 조망을 고려한 동서 방향 통경축 확보로 열린 도시경관을 조성하고, 아치형 스카이라인으로 도시미관을 향상시키는 한편, 태양광패널(BIPV) 적용으로 친환경 입면을 특화한다. 도로도 넓어진다. 대지 내 공지 활용으로 안전하고 쾌적한 보행공간을 조성하고, 구릉지 레벨차를 활용한 접근성 높은 보행로를 설계한다. 단지 중앙 마당을 통한 주민 활동 및 커뮤니티 공간을 제공한다. 시흥대로 36길변에 근린생활시설을 설치하고, 개방형 공동이용시설(스터디 카페) 운
thumbnail - 최기찬 서울시의원 “금천구 시흥동 1005번지(중앙하이츠) 모아주택 통합심의 통과”



2019-02-22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