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 뇌 속, 알고보니 ‘미세 플라스틱’ 범벅…‘한 숟가락’ 나왔다

사람 뇌 속, 알고보니 ‘미세 플라스틱’ 범벅…‘한 숟가락’ 나왔다

김성은 기자
김성은 기자
입력 2025-02-04 17:44
수정 2025-02-04 17:4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뇌에서 검출된 미세 플라스틱, 9년 전보다 50%↑

이미지 확대
상대적으로 입자가 큰 미세 플라스틱. 그린피스
상대적으로 입자가 큰 미세 플라스틱. 그린피스


인간의 뇌에서 발견된 미세 플라스틱 양이 일반적인 숟가락의 한 스푼 분량에 해당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발견된 미세 플라스틱 양은 9년 전보다 50% 늘었으며, 특히 치매 환자의 뇌에서는 건강한 사람보다 최대 5배 더 많은 미세 플라스틱이 검출됐다.

3일(현지시간) CNN 등 외신에 따르면 뉴멕시코 대학 앨버커키 캠퍼스의 매튜 캠펜 교수 연구팀은 지난해 초 부검을 통해 채취한 인간 뇌 샘플을 분석한 결과 2016년 샘플보다 미세 함유량이 50% 증가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평균 연령 45~50세인 정상인 뇌 조직에서 1g당 4800㎍(마이크로그램)의 미세 플라스틱을 발견했다. 이는 일반적인 플라스틱 숟가락 한 개와 맞먹는 양이다. 또한 뇌에서 발견된 미세 플라스틱의 양은 신장과 간에 비해 7~30배 더 많았다.

연구팀은 사망 전 치매 진단을 받은 12명의 뇌도 함께 분석했다. 그 결과 건강한 뇌보다 3~5배 더 많은 미세 플라스틱이 발견됐다고 밝혔다. 맨 눈으로 보기 어려울 정도로 작은 미세 플라스틱 파편들은 주로 뇌의 동맥과 정맥 벽, 그리고 면역 세포에 집중돼 있었다.

캠펜 교수는 “치매는 혈액-뇌 장벽과 청소 메커니즘이 손상된 질병”이라며 “염증 세포와 뇌 조직 위축으로 인해 플라스틱이 흘러들어가는 일종의 싱크대가 생길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그는 “미세 플라스틱이 치매의 원인이라고 단정 짓기는 어렵다”며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러트거스대학교의 피비 스테이플턴 교수는 “뇌에서 플라스틱 침전물이 발견됐다고 해서 그것이 반드시 손상을 일으킨다고 볼 수는 없다”며 “입자가 세포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그리고 이것이 독성학적 결과를 가져오는지 이해하기 위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한편 연구팀은 간과 신장이 체내 일부 플라스틱을 제거할 수 있다는 징후를 발견했으나, 뇌에서도 같은 기능이 가능한지는 아직 확인하지 못했다고 덧붙였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