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마 거기까지 선크림을?”…의외의 ‘이 부위’ 빼먹으면 ‘악성 종양’ 위험

“설마 거기까지 선크림을?”…의외의 ‘이 부위’ 빼먹으면 ‘악성 종양’ 위험

김성은 기자
김성은 기자
입력 2025-05-31 08:00
수정 2025-05-31 08: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피부암의 일종인 흑색종. 미국국립암연구소
피부암의 일종인 흑색종. 미국국립암연구소


많은 사람들이 자외선 차단제를 바를 때 귀 부분을 빼먹기 쉬운데, 이 때문에 귀에서 치명적인 피부암인 흑색종이 발생할 위험이 크다는 전문가 경고가 나왔다.

28일(현지시간) 영국 데일리메일 보도에 따르면, 미국 미니애폴리스의 피부과 전문의 마이클 박 박사는 인스타그램을 통해 “사람들이 자외선 차단제를 바를 때 가장 자주 빼먹는 부위가 바로 귀”라고 강조했다.

그는 1년 넘게 흑색종 전문 클리닉에서 수련 과정을 거치며 사람들의 귀에 피부암이 발생하는 사례를 자주 목격했다고 전했다.

그는 “귀에서 큰 덩어리의 피부를 잘라내는 수술을 정기적으로 하고 있다”며 “환자들이 이 민감한 부위에 자외선 차단제 바르는 것을 잊어버렸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미지 확대
마이클 박 박사는 사람들이 자주 놓치는 귀 부위에 선크림을 발라야 흑색종을 예방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인스타그램 캡처
마이클 박 박사는 사람들이 자주 놓치는 귀 부위에 선크림을 발라야 흑색종을 예방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인스타그램 캡처


흑색종은 가장 위험한 피부암의 일종이다. 피부암 사망자 5명 중 4명이 흑색종 때문에 목숨을 잃는다. 연구에 따르면 흑색종 환자의 90% 가까이가 자외선에 과도하게 노출돼 발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뒤집어 말하면 대부분 예방 가능하다는 의미다.

박 박사는 “사람들이 왜 피부암은 별거 아니라는 생각을 갖게 됐는지 모르겠다”며 “하지만 흑색종은 조기에 발견하지 못하면 생명을 잃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편평세포암, 기저세포암과 같은 비흑색종 피부암은 조기 발견하면 비교적 쉽게 치료할 수 있다. 하지만 주된 치료법은 수술이다.

박 박사는 “머리와 목 부위에 생기는 공격적인 편평세포암도 생명을 앗아갈 수 있다”며 “가장 흔한 피부암인 기저세포암은 생명을 위협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지만, 그래도 잘라내야 한다”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83세 여성 환자의 귀 흑색종 사례. 위키미디어 커먼스
83세 여성 환자의 귀 흑색종 사례. 위키미디어 커먼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