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플라스틱 제품의 지속적 노출이 각종 질병 위험을 높인다는 연구가 나오면서, 전자레인지 사용을 피하고 유리나 스테인리스 용기로 교체하는 방안이 권장되고 있다. 아이클릭아트
어린 시절 플라스틱 제품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성인이 돼서도 심장병과 불임, 천식 등 각종 질병에 걸릴 위험이 크게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뉴욕대 의대 연구진은 플라스틱 속 화학물질이 호르몬을 교란하고 뇌 발달을 저해해 지능지수(IQ) 저하까지 일으킨다고 밝혔다.
뉴욕대 랑곤 헬스 연구진은 플라스틱 관련 최신 연구 수백 편을 검토한 결과를 지난 21일 국제 학술지 ‘랜싯 아동·청소년 건강’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수천 명의 임신부와 태아,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연구들을 종합 분석했다. 그 결과 플라스틱에 포함된 독성 화학물질들이 심장병, 비만, 불임, 천식 등 다양한 만성질환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이 주목한 것은 플라스틱을 유연하게 만드는 프탈레이트, 단단하게 만드는 비스페놀, 열과 물을 차단하는 과불화알킬물질(PFAS) 등 3가지 화학물질이다.
연구를 주도한 레오나르도 트라산데 소아과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플라스틱이 어린 시절 발생한 만성질환을 청소년기와 성인기까지 지속시키는 요인이라는 점을 확인했다”며 “자녀들의 건강한 삶과 장수를 바란다면 이러한 화학물질 사용 제한을 반드시 고려해야한다”고 경고했다.
이들 화학물질은 음식 포장재, 화장품, 영수증 등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제품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플라스틱 제품을 사용하거나 가열하거나 화학 처리할 때 미세플라스틱과 나노입자가 방출돼 우리 몸에 들어온다.

각종 플라스틱 용기. 아이클릭아트
플라스틱 화학물질은 몸 전체 조직에 과도한 면역 반응인 염증을 일으키고, 여러 신체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호르몬의 작용을 방해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뇌 발달에도 악영향을 미쳐 여러 연구에서 어린 시절 노출이 지능지수 저하와 자폐증,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같은 신경발달 문제와 연관이 있다고 보고됐다.
연구진은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고 인간의 건강을 보호하는 방안도 제시했다.
트라산데 교수는 “부모들이 큰 비용을 들이지 않고도 아이들의 플라스틱 노출을 제한할 수 있는 안전하고 간단한 방법들이 있다”고 말했다.
플라스틱 용기를 유리나 스테인리스 스틸로 바꾸고, 플라스틱 제품을 전자레인지에 돌리거나 식기세척기에 넣지 않는 것이 도움이 된다고 설명했다.
의료진들이 명확한 지침을 제공해 부모들이 사용하는 제품에 대해 정보에 기반한 결정을 내리고 더 안전한 선택지로 유도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정책 차원에서는 특히 건강 격차가 심각한 저소득 지역에서 불필요한 플라스틱 제품 사용을 줄이는 더 엄격한 규제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연구진은 플라스틱이 소아 의료 분야에서 조산아용 인공호흡기와 수유관, 천식 아동용 분무기, 감염 확산 방지 마스크 등에 필수적 역할을 한다며, 이번 연구 결과가 의료 분야에서의 플라스틱 필요성에 이의를 제기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곳에서의 불필요한 사용의 위험성을 강조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