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한한 가능성과 꿈의 무대인 ‘2019 국악창작곡 개발-제13회 21c 한국음악프로젝트’(주최: 문화체육관광부/주관: (재)국악방송)가 4월 8일부터 19일까지 참가작품을 접수 받는다.
국악의 대중화 및 현대화를 목표로 2007년부터 추진된 본 대회는 매년 우수한 창작곡을 개발하고 실력있는 신진국악인을 발굴하는데 주력하고 있으며, 대상 수상자에게는 국무총리상과 상금 1천 5백만원이 주어진다.
특히 올해 예술감독으로 국악작곡 및 뮤지컬, 창극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는 젊은 작곡가 양승환 씨를 선임하여 대회를 함께 이끌어나갈 예정이다.
양감독은 서울대학교에서 국악작곡을 전공하고 뉴욕대학교 대학원에서 음악이론 및 작곡을 전공했으며, 월드뮤직그룹 ‘바이날로그’의 동인이자 ‘딸’의 멤버로 활동한 적 있다.
또한 2014년 KBS 국악대상 작곡상을 수상하였고 국립창극단 <숙영낭자전> 음악감독, 국립민속국악원 창극 <나운규의 아리랑> 작·편곡, 전북관광브랜드공연 뮤지컬 <춘향>, <홍도> 작·편곡 등 다양한 활동을 보여주고 있다.
이미지 확대
<제13회 21c 한국음악프로젝트> 예술감독, 사진출처:(재)국악방송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제13회 21c 한국음악프로젝트> 예술감독, 사진출처:(재)국악방송
신진국악인의 등용문으로 불리기도 하는 <21c 한국음악프로젝트>는 일반적인 경연대회가 아닌, 예술감독 멘토링부터 방송출연, 프로필 사진 촬영, 수상곡 음원녹음 및 온라인 유통, 해외 공연까지 젊은 음악인들의 지속가능한 활동을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지원하고있다. 특히 올해 하반기에는 홍콩에서 21c 한국음악프로젝트 수상팀들의 공연이 개최될 예정이며, 수상곡 모두 음원사이트에서 유통된다.
대중들에게 잘 알려진 ‘난감하네’의 ‘프로젝트 락(樂)’, 영화 <워낭소리> OST를 제작한 ‘아나야’, 영화 ‘해어화’ 주제가를 부른 ‘정가앙상블 소울지기’ 등도 본 대회에서 수상하였으며, KBS 불후의 명곡에 출연하며 큰 사랑을 받고 있는 이봉근, 고영열도 본 대회 참가한 바 있다.
올해 예술감독을 맡은 양승환 감독은 “음악동료나 친구같은 멘토로서 참가자들과 함께 한국음악의 새로운 방향성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나눌 것”이라는 포부를 밝혔다.
본 대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은 21c 한국음악프로젝트와 국악방송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