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학수 시인 첫 자전 소설 ‘하늘까지… ’ 몸 낮춘 50년 세월 애환과 희망 그려
“어떻게 보면 제가 피해자가 아니라, 가해자가 아니었나 하는 생각도 들곤 하죠.”마치 천사가 날개를 잃고 하늘에서 땅으로 몸을 낮춰 내려온 듯 선해 보이기 그지없는 얼굴과 웃음으로 얘기한다. 하지만 그가 감내해야 했던 고통의 무게는 상상 이상이었다. 스스로 목숨을 끊을까도 여러 차례 생각했고, 오랜 시간 동안 ‘언젠가는 복수하겠다.’고 별렀다. 사람에 대해 한번 품은 앙심은 쉬 떨궈지지 않았다. 그 마음속에 문학을, 그것도 동시를 품고 살았다.

도서출판 아시아 제공
척추 장애가 있는 안학수 시인이 지난 4일 서울 인사동 한 음식점에서 출간기념회를 가진 뒤 자전소설을 들고 활짝 웃고 있다.
도서출판 아시아 제공
도서출판 아시아 제공
동시를 쓰는 시인 안학수(57)는 척추장애인이다. 등이 굽어 보통 어른의 어깨에도 미치지 않는 작은 키다. 다섯 살 때 입은 사고로 50년을 그렇게 낮은 자세로 살아 왔다. 사연은 기구하다.
동네 형의 밥을 얻어먹으려다가 발길질을 당해 툇마루에서 떨어졌다. 그랬건만 다섯 살 터울의 누나는 자신이 그 순간 제대로 돌보지 못해 벌어진 일로 생각해 평생을 죄책감 속에 살았다. 누나뿐 아니라 가족, 동네 사람들도 모두 그렇게 알았다. 소처럼 우직하게 일 잘하는 동네 형 또한 차마 자신이 했노라 말하지 못한 채 평생을 끙끙거리며 살았다. 안학수 자신 또한 오랜 세월 원망과 복수심을 품고 살아야 했다.
끔찍한 고통, 상처와 화해하는 시간은 문득 찾아왔다. 1993년 대전일보 신춘문예로 등단하며 초등학교 때부터 꿈꿔 왔던 문학의 삶을 나이 마흔에 펼치면서, 어느 날 상갓집에서 다시 만난 동네 형이 술의 힘을 빌려 사과하면서, 그리고 자신의 모든 고통스러웠던 삶의 기억을 담으면서 털어버린 장편소설 ‘하늘까지 75센티미터’(아시아 펴냄)를 내놓으면서다. 시인의 첫 소설이지만 이미 10년 전 동아일보 신춘문예 소설 부문 최종심에 올랐을 정도로 내공은 충분히 다져 있는 상태였다.
안학수는 “내 속에 있는 깊은 상처를 모두 쏟아내고 털어버려야 오히려 제대로 된 동시를 쓰고 문학을 할 수 있겠다고 생각했다.”고 자전적 소설을 내놓는 마음을 드러냈다. 그는 “그 동네 형이 오랫동안 안고 살았을 고통을 생각하면 오히려 내가 가해했다는 생각도 들고, 뒤늦게나마 사과를 해 줘서 이렇게 그 내용까지 포함해 소설을 쓸 수 있으니 그것 또한 내가 고마운 일”이라고 덧붙였다.
75㎝는 일반인과 척추장애인의 평균적인 키 차이이자 한 사람이 다른 사람에게 내미는 팔의 길이다. 단순한 해원(解怨)을 뛰어넘어 ‘사람에 대한 예의’를 담았음을 짐작할 수 있다. ‘좋은 데’를 가자며 함께 어머니가 그를 업고 강물로 걸어가는 소설의 첫 장면부터 그를 문학의 길로 이끌어준 눈 밝은 이문구 선생과의 인연, 금 세공사로 살아 왔던 신산한 삶 등이 소설의 외피 속에 가슴 먹먹히 펼쳐져 있다. 그의 몸 앞뒤로 굽은 뼈는 ‘퇴화한 천사의 날개’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문득 스쳐 간다.
‘하늘까지’는 아시아권 문학의 한국 소개에 앞장서온 도서출판 아시아가 내놓은 첫 국내 작품이다. 몽골, 베트남, 중국 등에 번역해 소개할 예정이다.
박록삼기자 youngtan@seoul.co.kr
2011-05-07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