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에 ‘쏙쏙’ 쉽게 풀어 쓴 동의보감

귀에 ‘쏙쏙’ 쉽게 풀어 쓴 동의보감

입력 2011-10-29 00:00
수정 2011-10-29 00:1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동의보감, 몸과 우주 그리고…】 고미숙 지음 그린비 펴냄



한국인치고 ‘동의보감’ 모르는 이는 없을 거다. 무수한 건강보조식품 광고와 수많은 한의학적 처방들을 통해 보고 또 들었다.

그런데 정작 동의보감이 다루고 있는 게 뭐냐고 물으면 답변이 궁색해진다. 가장 대중적인 유산인 동의보감이 한국인의 일상과 동떨어져 ‘고전의학’ 텍스트의 하나로 전락한 셈이다. 이는 곧 귀에 쏙 들어오도록 동의보감을 쉽게 풀어 쓴 책이 없었다는 뜻이기도 하다.

이에 견줘 고미숙 고전평론가가 지은 ‘동의보감, 몸과 우주 그리고 삶의 비전을 찾아서’(그린비 펴냄)는 참 쉽다. 보다 정확히는 쉬워지려고 노력했다. 예컨대 이런 거다.

저자는 허준의 시각을 빌려 요즘 ‘잘나가는’ 댄스 가수들의 건강을 염려한다. 동의보감에서 소리를 잘 다스리기 위해 제시한 생활 규칙, ‘첫째, 해가 진 뒤엔 말을 하지 말라. 둘째, 식사할 때도 말하지 말라. 셋째, 누운 채로 말하지 말라. 넷째, 길을 걸을 때 말하지 말라.’ 등을 이들이 무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대목에서 저자의 지적이 시작된다. “예전 기생들은 가무(歌舞)를 익히되 ‘가’와 ‘무’를 동시에 하지는 않았다. 가창을 할 때는 다소곳이 앉아 소리에 집중했고, 춤을 출 때는 오직 춤만 췄다.

그런데 요즘 댄스 가수들은 춤과 노래를 동시에 한다. 그것도 아주 과격하게 근육과 뼈를 움직이는 춤이 대부분이다.”

●아이돌 춤·노래 함께 하는 것 건강엔 안 좋아

여기서 궁금증이 생긴다. 왜 소리를 잘 다스려야 하는 거지? 안 그러면 어떻게 되나? 소리의 이상징후는 몸의 생리적 이상과 맞물려 있다. 쉽게 말해 목소리는 사람의 오장육부 상태를 반영하고 있기 때문에 결코 함부로 다뤄서는 안 된다는 얘기다. 즉, 가무를 ‘격하게’ 함께 하면 심장과 폐, 비위에 많은 무리가 갈 수 있다는 거다. 저자는 줄곧 이런 방식으로 병과 사람의 이야기를 풀어간다.

책의 핵심은 분명하다. “먼저 자신의 몸을 잘 알고, 그 뒤 자기 삶의 치유자가 되라.”는 거다. 나의 몸은 ‘나’ 외에도 온갖 병원체와 질병들이 동거하는 공간이다.

당연히 살아가면서 온갖 병을 앓게 마련이다. 그런데 우리는 몸이 아프면 어느 병원 무슨 과에 가서 진찰받을 것인가만 생각한 뒤 이후의 과정은 전문가에게 맡겨 버린다. 자신의 병이 뭔지 알기 귀찮고, 무섭고, 짜증난다. 그저 후딱 처방받으면 고쳐지겠거니 생각하고 만다.

●병 치료에 급급하기보다 일상 돌아봐야

이 지점에서 저자의 지적이 이어진다. “이것은 삶의 정말 중요한 부분을 남의 손에 넘기는 것과 같다. 병을 재빨리 치워버려야 할 어떤 것으로만 보는 데서 벗어나 왜 이런 병이 오는지, 이것으로 내 감정에는 어떤 변화가 생겼는지, 건강해지기 위해 내가 꾸려야 할 일상은 어떤 것인지, 보고 느끼고 공부해야 한다.”

이 말은 곧 동의보감이 세상에 나온 이유와 정확히 일치한다. 1만 7900원.

손원천기자 angler@seoul.co.kr
2011-10-29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