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궐은 박제된 고건축물 아닌 살아있는 역사”
궁궐은 박제된 고건축 박물관이 아니라 살아 움직이는 현장입니다.우리 조상들이 어떻게 살았는지 이해하려면 그들이 살았던 환경 속으로 들어가 보는 게 가장 좋은 방법이지요. 군주국가였던 조선이라는 나라의 임금이 생활했던 공간을 탐색하다 보면 당시 지배계층의 삶은 물론 정치체계, 이데올로기까지 읽을 수 있습니다.“경복궁은 중국의 자금성을 모방해서 지은 것이다.” 주변에서 어렵잖게 들을 수 있는 이 말은 사실일까? 물론 허구다. 자금성은 경복궁보다 11년이나 늦게 세워졌다.
이럴 때 떠오르는 게 바로 ‘아는 만큼 보인다’는 말이다. 문화유산을 찾아가서도 건성건성 둘러보거나 이렇게 근거 없는 오해를 하는 이유 중 하나가 관련 지식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아이들을 데리고 가서도 몇 마디만 설명하면 밑천이 드러나는 바람에 정작 중요한 부분은 얼버무리기 일쑤다.

김명국기자 daunso@seoul.co.kr
‘나도 문화해설사가 될 수 있다’를 펴낸 최동군씨는 “궁궐은 조상들의 삶을 들여다볼 수 있는 결정적인 자료”라고 강조한다.
김명국기자 daunso@seoul.co.kr
김명국기자 daunso@seoul.co.kr
700쪽이 넘는 방대한 분량이지만 아빠가 가족과 함께 직접 답사하며 나누는 대화체로 썼기 때문에 잠시도 지루할 틈이 없다.
●아버지·아들 대화체로 지루하지 않게 설명
“처음부터 책을 내겠다는 욕심은 없었습니다. 10년 넘게 답사를 다니면서 배우고 깨달은 것을 혼자만 알고 있기가 아깝더라고요. 제 아이들에게라도 남겨 줘야겠다는 마음에서 자료집 형태로 정리했는데….” 그렇게 쌓인 자료들을 인터넷 카페에 올렸는데 마침 출판사의 눈에 띄어 책으로 태어나게 됐다.
최동군씨의 문화답사 이력은 범상치 않다. 15년 가까이 주말마다 궁궐뿐 아니라 전국 방방곡곡을 누비고 다녔다. 평생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로 살아 온 그가 어떤 계기로 답사 전문가가 됐을까. “1997년 우연하게 참가한 경주 문화답사에서 신내림에 가까운 충격을 받았습니다. 경주국립박물관 직원 한 분이 황룡사지를 설명해 주는데, 얼마나 실감이 나는지 허허벌판에 황룡사의 모습이 컴퓨터 그래픽처럼 그려지는 것이었습니다.”
그 일을 계기로 그는 문화답사에 푹 빠져버렸다. 충실한 답사를 위해 동양철학, 풍수지리, 한의학까지 독학으로 섭렵했다. 이번 책에 그렇게 쌓은 다양한 지식을 쏟아부었다.
그는 궁궐이야말로 조상들의 삶을 들여다볼 수 있는 결정적 자료라고 강조한다. “궁궐은 박제된 고건축 박물관이 아니라 살아 움직이는 현장입니다. 우리 조상들이 어떻게 살았는지 이해하려면 그들이 살았던 환경 속으로 들어가 보는 게 가장 좋은 방법이지요. 군주국가였던 조선이라는 나라의 임금이 생활했던 공간을 탐색하다 보면 당시 지배계층의 삶은 물론 정치체계, 이데올로기까지 읽을 수 있습니다.”
우리 궁궐의 특징은 무엇일까. 그는 음양의 조화가 뛰어나다고 설명한다.
“예를 들면 경복궁에는 두 개의 연못이 있습니다. 향원정 연못은 둥근 모양으로 하나를 팠는데, 여기서 ‘둥글다’는 것과 ‘하나’는 모두 양을 뜻합니다. 반면에 경회루 연못은 네모 모양으로 두 개를 팠습니다. ‘네모’와 ‘둘’은 모두 음을 나타내지요. 음양의 조화를 이루면서 목조건물의 화기를 다스리겠다는 의도가 담겨 있는 것입니다.”
다른 책에서는 만나기 쉽지 않은 해석이다. 우리나라의 주류 답사계에서는 풍수지리를 인정하기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우리 조상들이 집 하나를 짓는데도 음양오행과 풍수를 따졌다는 것은 엄연한 사실이다.
●“우리 궁궐 음양조화 탁월… 알고보면 더 재미”
그는 궁궐뿐 아니라 불교 유산, 능묘 등으로 기록의 외연을 넓힐 계획이라고 밝힌다. 발품과 땀으로 쓴 이 책이 많은 이들에게 문화의 문을 여는 열쇠 같은 존재가 되기를 바란다는 속내도 털어놓는다. “특별한 목적을 갖고 쓴 것은 아니지만 청소년들이 우리 문화를 알고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됐으면 좋겠습니다.”
이호준 편집위원 sagang@seoul.co.kr
2011-12-24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