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해자는 쉽게 말한다. 하지만 피해자는 쉽게 떨칠 수 없다. 몸과 말의 폭력이 만들어낸 상처와 응어리는 아물지도, 풀어지지도 않는다. 요즘 중·고등학교를 넘어 초등학교, 유치원까지 옮아가고 있다는 우리 교육현장의 병폐 ‘왕따’ 얘기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뚱뚱보, 꿀돼지, 꿀꿀이. 제이슨이 새로 이사 온 패트릭을 놀릴 때 쓰는 말이다. ‘네가 놀림을 받는다면 기분이 어떻겠느냐’는 아빠의 질문에 제이슨은 조금의 동요도 없이 태연히 말을 잇는다. “저한테는 아무도 그러지 않아요. 저는 장난으로 그랬을 뿐이에요.”
타인의 아픔에 무감하고 죄책감도 느끼지 않는 제이슨을 다그치고 윽박지르는 대신 아빠는 옛날 이야기를 들려준다. 아빠가 ‘얼룩개구리’라 놀리고 괴롭히던 친구를 수십년 뒤인 지난달 우연히 만났을 때다. 아빠 때문에 오랫동안 스스로를 형편없는 인간이라고 생각해 왔다는 친구의 말에 아빠는 사과하며 악수를 청한다. 하지만 친구는 ‘늦었다’는 말로 아빠의 사과를 뿌리친다. 아빠의 빈 손에 남은 것은 어떤 감정이었을까.
‘장난인데 뭘 그래?’는 괴롭힘의 피해자가 아닌 가해자의 이야기로 그려진다. 그래서 누군가에게는 평생 악몽으로 남을 일을 ‘그냥’, ‘장난’으로 저지르고 있다는 맥없는 사실과 그걸 가해자인 아이 자신도 때론 의식하지 못하고 있다는 현실을 짚어낸다. “사람은 마음속에 착한 개, 나쁜 개 두 마리의 개를 키우고 있어. 너는 어떤 개에게 밥을 더 많이 주는지 곰곰이 생각해 보렴.” 제이슨 아빠의 말은 아이들에게 ‘너는 어떠니’ 하고 조용한 질문을 던진다. 초등 저학년.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14-05-31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